두산, 수소 연료전지 등 '미래 먹거리' 확보 총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두산은 수소 드론, 수소 연료전지 발전, 협동로봇,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발전용 연료전지 등 유망한 사업을 육성하면서 미래를 대비하고 있다.
연료전지, 가스터빈 등 친환경 에너지는 두산의 대표적인 미래 먹거리다.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발전하는 연료전지는 전기와 온수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어 효율이 높다. (주)두산 퓨얼셀파워BU는 10㎾ 건물용과 1㎾ 주택용 등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를 생산하고, 두산퓨얼셀은 440㎾ 규모의 발전용 인산형 연료전지(PAFC)를 생산한다.
회사 측은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은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2040년까지 연평균 20% 이상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두산퓨얼셀은 시장 진입 후 3년 만인 지난해 처음으로 수주 1조원을 넘었다. 2023년 매출액 1조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연료전지 기술을 바탕으로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을 설립해 드론용 수소연료전지팩과 이를 탑재한 수소드론도 출시했다.
두산은 이 같은 그룹 내 수소 비즈니스 역량을 한 데 모아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0 수소모빌리티+쇼’에 참가했다. 이 자리에서 두산은 수소모빌리티, 연료전지 등 전시회 핵심 테마에 맞춰 수소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였다.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9월 창원 본사에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초도품을 공개했다. 두산중공업은 최신 사양의 후속 가스터빈 모델(380㎿급), 신재생 발전의 단점으로 꼽히는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한 100㎿급 중형 모델 개발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12월 한국서부발전과 김포열병합발전소 가스터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을 통해 두산중공업은 독자개발에 성공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성능을 실증하게 됐다. 오는 2021년 가스터빈을 출하해 설치한 뒤 2022년 준공 후 약 2년간 실증을 진행하게 된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앞으로 세계 최고 성능의 차세대 한국형 복합화력 발전 시스템을 개발해 국내 천연가스 발전 시장의 구도를 바꾸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수빈 기자 lsb@hankyung.com
연료전지, 가스터빈 등 친환경 에너지는 두산의 대표적인 미래 먹거리다.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발전하는 연료전지는 전기와 온수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어 효율이 높다. (주)두산 퓨얼셀파워BU는 10㎾ 건물용과 1㎾ 주택용 등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를 생산하고, 두산퓨얼셀은 440㎾ 규모의 발전용 인산형 연료전지(PAFC)를 생산한다.
회사 측은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은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2040년까지 연평균 20% 이상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두산퓨얼셀은 시장 진입 후 3년 만인 지난해 처음으로 수주 1조원을 넘었다. 2023년 매출액 1조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연료전지 기술을 바탕으로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을 설립해 드론용 수소연료전지팩과 이를 탑재한 수소드론도 출시했다.
두산은 이 같은 그룹 내 수소 비즈니스 역량을 한 데 모아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0 수소모빌리티+쇼’에 참가했다. 이 자리에서 두산은 수소모빌리티, 연료전지 등 전시회 핵심 테마에 맞춰 수소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였다.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9월 창원 본사에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초도품을 공개했다. 두산중공업은 최신 사양의 후속 가스터빈 모델(380㎿급), 신재생 발전의 단점으로 꼽히는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한 100㎿급 중형 모델 개발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12월 한국서부발전과 김포열병합발전소 가스터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을 통해 두산중공업은 독자개발에 성공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성능을 실증하게 됐다. 오는 2021년 가스터빈을 출하해 설치한 뒤 2022년 준공 후 약 2년간 실증을 진행하게 된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앞으로 세계 최고 성능의 차세대 한국형 복합화력 발전 시스템을 개발해 국내 천연가스 발전 시장의 구도를 바꾸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수빈 기자 ls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