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 보장성 강화한다면서…고령층 약값 부담 크게 높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치매 증상 개선제 판매하는
제약사들 급여 재평가 요구
제약사들 급여 재평가 요구

8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콜린알포세레이트를 생산하는 종근당 등 66개 국내 제약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급여 적정성 재평가를 요청할 계획이다. 이들은 이날 공동성명을 통해 “심평원이 콜린알포세레이트의 일부 적응증에 대한 환자 본인부담률을 30%에서 80%로 대폭 높이기로 했다”며 “이는 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낮추고 의료 접근성을 향상시키겠다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의 근본 취지에 정면 배치된다”고 했다.

제약사들은 “재정 절감을 위해 콜린알포세레이트 제제 보장률을 낮추는 것은 치매 국가책임제 취지에도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약값이 올라가면 경제력이 떨어지는 노인들은 복용을 중단하게 된다는 것이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