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민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사진·사법연수원 37기)가 태평양 인사노무그룹의 새 사령탑으로 임명됐다.7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변호사는 지난 1일 태평양 인사노무그룹장으로 임명됐다. 김 변호사는 앞서 인사노무그룹을 이끌던 김성수 변호사(24기)가 지난해 업무집행변호사로 선임되면서 약 1년 간 그룹장 수업을 거쳐 이번에 변호사 36명, 노무사 5명 등 43명으로 구성된 인사노무그룹을 이끌게 됐다.1979년생인 김 변호사는 올해 만 45세로, 매출액 기준 10대 로펌의 인사노무 관련 조직 리더 가운데 최연소자인 것으로 알려졌다.김 변호사는 최근 한국중부발전을 대리해 노조연합 근로자대표 인정 사건을 해결하는 등 그동안 인사노무 분야에서 굵직한 성과를 쌓으며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현대차와 11년 전 협력업체를 퇴직한 근로자 간 소송 상고심에 실효의 원칙을 적용해 근로자 승소로 판결한 원심을 파기환송한 판결을 이끌어내 주목받기도 했다.한편 김 변호사는 한경 베스트로펌&로이어 시상식에서 2022년에 이어 지난해 두번째로 노동·인사 부문 베스트 로이어상을 수상했다.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
국민취업지원제도 중 하나인 '구직촉진수당'이 제도 도입 이후 최초로 지급이 지연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선발 기준 완화로 참여 인원이 대폭 늘어난 데다가 예산 삭감까지 겹치면서다. 법으로 정해진 지급 기한을 초과한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 구직촉진수당으로 생계를 유지해온 취약계층 구직자들은 청천벽력 같은 소식에 "일용직 아르바이트라도 시작해야 하는 거 아니냐"며 불안에 떨고 있다."구직촉진수당 지급 지연될 수도"…고용부 제도 도입 이래 최초 공지7일 한경닷컴 취재를 종합하면 고용노동부는 최근 구직촉진수당 관리·감독 위탁기관에 "구직촉진수당 지급이 지연될 수 있다"고 안내했다. 지급 지연이 현실화한다면 제도가 시행된 2021년 1월 1일 이래 초유의 사태다. 한 위탁기관 관계자는 "(고용부에서) 이번 연도 행정업무 처리상 지급이 밀리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며 "이런 안내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했다. 다른 관계자도 "구직촉진수당 지급이 평소보다 더 늦을 수 있다고 전달받았다"고 했다.구직촉진수당은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경제적 지원과 취업 서비스를 제공해 구직 활동을 돕는 고용부의 취업 지원 제도다. 매월 50만원씩 6개월 동안 생계비 명목 등으로 최대 300만원을 받는 1유형과 직업 역량 개발에 필요한 직업훈련비 등을 지원받는 2유형으로 나뉜다.1유형의 경우 근로 능력과 구직의사가 있는 국민이 △15세~69세 △중위소득 60% 이하(2025년 기준 143만5208원) △가구원 합산 4억원 이하 등 요건을 충족할 경우 참여할 수 있다. 1유형은 세부적으로 △요건심사형 △선발형(비경제활동) △선발형(청년특례)으
무안 제주항공 사고 여객기가 사고 당시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을 겪은 것으로 확인됐다.국토교통부는 7일 무안 제주항공 사고 원으로 지목돼 온 조류 충돌 발생 사실을 처음으로 공식 확인했다.이승열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 사고조사단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버드 스트라이크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이 단장은 "한쪽 엔진은 (조류 충돌로) 확실하게 보이는데, 양쪽 엔진에서 같이 일어났는지, 다른 엔진에서 덜 심하게 일어났는지는 조사 결과를 봐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조류 충돌의 근거에 대해서는 "엔진에 들어간 흙을 파내는 과정에서 깃털 일부를 발견했다. 새가 어떤 종이고, 어떻게 들어갔는지는 엔진 내부를 검사하면서 조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다만, "조류 충돌이 심하게 일어났다고 해서 엔진이 바로 꺼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발견된 깃털은 국내 전문가뿐 아니라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와 분석 작업을 거칠 계획이라고 이 단장은 전했다.국토부는 이날 사고 피해를 키운 것으로 지목된 로컬라이저의 설치와 개량 과정에 대해서도 설명하면서 로컬라이저 규정 위반 논란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구조물이 부러지기 쉽게 만들어야 하는 종단안전구역의 범위를 '방위각 제공시설(로컬라이저) 앞단까지'로 해석해, 그에 따라 로컬라이저의 기반 시설인 '콘크리트 둔덕'에도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