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되는 게 뭐야?"…집콕족의 라이프 블랙홀 '편의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포스트 코로나, 편의점 만능시대 上
▽ 코로나19 확산 후 근거리 쇼핑 늘어, 먹거리 매출↑
▽ 전국 점포 수만 4만2000개, 유통 채널 핵심으로
▽ 코로나19 확산 후 근거리 쇼핑 늘어, 먹거리 매출↑
▽ 전국 점포 수만 4만2000개, 유통 채널 핵심으로
#광고회사에 다니는 싱글남 A씨(34)는 늦은 퇴근길에도 늘 편의점에 들렀지만 요즘은 바로 집으로 향한다. 편의점에서 시행하는 심야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영화를 보며 야식으로 먹을 치킨과 핫바 등은 물론 최근에는 아침에 먹을 샌드위치와 우유까지 배달받고 있다.
#결혼생활 6년차 B씨(41)는 정부에서 받은 긴급재난지원금을 다 사용하지 못했다. 현재 남아 있는 금액은 60여만원 정도. 이참에 비싼 가격으로 구매를 미뤘던 식기세척기를 구매할 생각이다. 재난지원금 사용이 가능한 편의점을 통해 가전을 구매할 수 있는 만큼 B씨는 퇴근길에 들러 계약할 예정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쇼핑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언택트(비대면) 소비 확산에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쇼핑의 주도권이 넘어가고, '편세권'이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편의점이 일상 생활 깊숙이 자리잡았다. 편의점은 전국에 깔린 점포망을 무기로 전(全) 소비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 플랫폼'으로 거듭나겠다는 전략이다.
실제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한 지난 3월부터 현재(6월 말)까지 편의점 내 먹거리와 생활필수품 판매가 급증했다. 이마트24에선 축산(296.7%) 와인(205.3%)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200% 넘게 뛰었다. 식품 분야에선 디저트(94.8%) 채소(82.4%) 과일(69.3%) 계란(56.2%) 등 매출이 큰 폭 신장했으며 스킨·보습로션(75.1%) 키친타올(67.4%) 롤티슈(55.4%) 등 비식품 분야 매출도 상승했다.
같은 기간 세븐일레븐에서도 신선식품 매출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야채 판매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7% 증가했고 쌀·잡곡(19.6%) 육류(12.4%) 등은 10% 넘게 판매가 늘었다. 생활필수품인 세제(10.8%) 매출도 늘었다.
편의점이 단순 소매점 역할을 넘어 신선식품을 믿고 구매할 수 있는 유통 플랫폼으로 떠오르는 모습이다. 편의점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니 간단한 음식이라도 집에서 만들어먹는 경향이 강해졌다"며 "대형마트는 바로 가기에 시간이 걸리고 유동 인구도 많다보니 가까운 편의점 이용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편의점 업계는 꾸준한 혁신으로 다양한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소비자의 일상 생활에 파고들고 있다. 최근에는 무인 택배함 운영, 방문 택배를 넘어 신선 상품을 냉장이 유지된 상태로 찾아갈 수 있는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다.
편의점 GS25는 온라인에서 주문한 신선 상품을 냉장이 유지된 상태로 찾아갈 수 있는 'BOX25'를 서비스 중이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주문한 신선 식품의 수령 장소를 GS25 점포로 선택하면 원하는 시간에 찾아갈 수 있고 QR코드 비밀번호 등을 통해 GS25 근무자와 대면하지 않고 상품을 찾아갈 수 있다.
단순 먹거리 판매에 이어 즉석으로 음식을 조리해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식당이 되기도 한다. 세븐일레븐은 먹거리 특화 매장인 '푸드드림'을 전국에 14곳 운영 중이다. 이 곳은 즉석우동과 국수 등 즉석 식품과 가정간편식, 신선식품, 생필품 등을 중심으로 판매한다. 최근에는 글로벌 프랜차이즈 역사상 처음으로 달성한 7만1100호점을 서울 서초구 방배동(푸드드림 방배점)에 오픈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는 세탁물 대행 서비스 인기도 높다. 코로나19 확산에 외출을 꺼리거나 시간 여유가 없는 직장인들의 이용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과정도 간편하다. 앱을 이용해 세탁을 신청하고 인근 편의점에 세탁물을 맡기면 끝이다. 세탁물은 주변 세탁소에서 알아서 해준 뒤 끝나면 고객이 편의점에서 세탁물을 찾거나 지정한 주소로 배송된다. 세탁 서비스를 찾는 사람이 늘자 GS25는 매장 한 켠에 셀프세탁기를 설치해 숍인숍 형태 셀프세탁방 매장인 '런드리 존'(Laundry Zone)을 오픈하기도 했다.
금융 업무도 해결할 수 있다. 은행에서 발급 받은 카드만 있으면 현금 인출기(ATM) 없이도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데다, 비대면 트렌드 확산에 최근에는 보험 상품도 판매 중이다. 지난 3월 GS25가 지난 3월 현대해상 반려동물 보험 상품을 판매한 데 이어 CU 편의점은 점포 내 택배기기를 통한 비대면 보험 판매 서비스를 개시했다. 판매 상품은 삼성화재 다이렉트 펫보험'으로 반려견과 반려묘를 기르는 반려인이라면 가입 대상이 된다. 복잡한 인증 절차 없이 반려동물 사진만 있으면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고 오프라인 보다 10% 가량 저렴하다. 최근 편의점에선 신선식품, 주류 판매 만큼이나 애완용품 매출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CU편의점에서 지난 3월~6월 애완용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1.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위생용품(21.7%) 즉석식품(17.2%) 식재료(16.7%) 보다 증가율이 높았다.
CU편의점을 운영하는 BGF리테일 관계자는 "평소 구매 빈도가 높지 않았던 반려동물 상품 판매량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급격히 늘고 있다"며 "반려동물 가구 1000만시대를 맞아 더욱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비대면 트렌드 확산에 급격히 성장 중인 분야가 또 있다. 바로 편의점 배달 서비스다. 전국 배송, 24시간 배송에 이어 최근에는 드론 배송까지 등장했다. GS25는 제주도에서 드론 배송을 통해 편의점 상품을 배달하는 서비스를 시범 운영 중이다. GS리테일 측은 드론 배송 네트워크가 본격적으로 상용화하면 연평도, 백령도, 마라도 등 도서 지역에 입점한 점포를 거점으로 인근 부속 도서·산간 지역 주민들에게도 신속하게 물품 배송이 가능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CU는 전국 50여 곳에서 운영하던 24시간 배달 서비스를 이달부터 전국 100개 점포로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약 3개월 간 테스트를 거친 결과 24시간 배달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반응이 긍정적이고, 가맹점의 매출도 상승했기 때문이다. CU에 따르면, 24시간 배달 서비스 운영점의 일 평균 배달 매출은 12시간 배달 서비스 운영점 대비 무려 6.9배나 높게 나타났다. 이에 CU는 24시간 배달 서비스 도입 점포수를 기존보다 2배로 늘렸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결혼생활 6년차 B씨(41)는 정부에서 받은 긴급재난지원금을 다 사용하지 못했다. 현재 남아 있는 금액은 60여만원 정도. 이참에 비싼 가격으로 구매를 미뤘던 식기세척기를 구매할 생각이다. 재난지원금 사용이 가능한 편의점을 통해 가전을 구매할 수 있는 만큼 B씨는 퇴근길에 들러 계약할 예정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쇼핑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언택트(비대면) 소비 확산에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쇼핑의 주도권이 넘어가고, '편세권'이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편의점이 일상 생활 깊숙이 자리잡았다. 편의점은 전국에 깔린 점포망을 무기로 전(全) 소비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 플랫폼'으로 거듭나겠다는 전략이다.
집콕 시대…모든 건 가까운 편의점에서
10일 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대면 접촉을 비하고 불특정 다수가 모이는 장소를 꺼리면서 집 근처에서 소비를 해결하는 '근거리 쇼핑'이 확산하고 있다. 가장 수혜를 입은 곳은 편의점이다. 전국에 깔린 점포 수만 4만5000여 개. 소비자와 가장 가깝게 위치한 덕에 유통의 핵심으로 급부상했다.실제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한 지난 3월부터 현재(6월 말)까지 편의점 내 먹거리와 생활필수품 판매가 급증했다. 이마트24에선 축산(296.7%) 와인(205.3%)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200% 넘게 뛰었다. 식품 분야에선 디저트(94.8%) 채소(82.4%) 과일(69.3%) 계란(56.2%) 등 매출이 큰 폭 신장했으며 스킨·보습로션(75.1%) 키친타올(67.4%) 롤티슈(55.4%) 등 비식품 분야 매출도 상승했다.
같은 기간 세븐일레븐에서도 신선식품 매출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야채 판매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7% 증가했고 쌀·잡곡(19.6%) 육류(12.4%) 등은 10% 넘게 판매가 늘었다. 생활필수품인 세제(10.8%) 매출도 늘었다.
편의점이 단순 소매점 역할을 넘어 신선식품을 믿고 구매할 수 있는 유통 플랫폼으로 떠오르는 모습이다. 편의점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니 간단한 음식이라도 집에서 만들어먹는 경향이 강해졌다"며 "대형마트는 바로 가기에 시간이 걸리고 유동 인구도 많다보니 가까운 편의점 이용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편의점 업계는 꾸준한 혁신으로 다양한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소비자의 일상 생활에 파고들고 있다. 최근에는 무인 택배함 운영, 방문 택배를 넘어 신선 상품을 냉장이 유지된 상태로 찾아갈 수 있는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다.
편의점 GS25는 온라인에서 주문한 신선 상품을 냉장이 유지된 상태로 찾아갈 수 있는 'BOX25'를 서비스 중이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주문한 신선 식품의 수령 장소를 GS25 점포로 선택하면 원하는 시간에 찾아갈 수 있고 QR코드 비밀번호 등을 통해 GS25 근무자와 대면하지 않고 상품을 찾아갈 수 있다.
식당 세탁 금융 보험 펫…라이프 블랙홀 '편의점'
포스트 코로나 시대, 편의점은 그야말로 라이프스타일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블랙홀'로 진화하고 있다. 식당이고 세탁소이며, 은행이고 보험사이기도 하다. 소비 생활의 사소한 면면까지 모두 가까운 편의점에서 해결하는 편의점 만능시대로 진화하고 있는 셈이다.단순 먹거리 판매에 이어 즉석으로 음식을 조리해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식당이 되기도 한다. 세븐일레븐은 먹거리 특화 매장인 '푸드드림'을 전국에 14곳 운영 중이다. 이 곳은 즉석우동과 국수 등 즉석 식품과 가정간편식, 신선식품, 생필품 등을 중심으로 판매한다. 최근에는 글로벌 프랜차이즈 역사상 처음으로 달성한 7만1100호점을 서울 서초구 방배동(푸드드림 방배점)에 오픈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는 세탁물 대행 서비스 인기도 높다. 코로나19 확산에 외출을 꺼리거나 시간 여유가 없는 직장인들의 이용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과정도 간편하다. 앱을 이용해 세탁을 신청하고 인근 편의점에 세탁물을 맡기면 끝이다. 세탁물은 주변 세탁소에서 알아서 해준 뒤 끝나면 고객이 편의점에서 세탁물을 찾거나 지정한 주소로 배송된다. 세탁 서비스를 찾는 사람이 늘자 GS25는 매장 한 켠에 셀프세탁기를 설치해 숍인숍 형태 셀프세탁방 매장인 '런드리 존'(Laundry Zone)을 오픈하기도 했다.
금융 업무도 해결할 수 있다. 은행에서 발급 받은 카드만 있으면 현금 인출기(ATM) 없이도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데다, 비대면 트렌드 확산에 최근에는 보험 상품도 판매 중이다. 지난 3월 GS25가 지난 3월 현대해상 반려동물 보험 상품을 판매한 데 이어 CU 편의점은 점포 내 택배기기를 통한 비대면 보험 판매 서비스를 개시했다. 판매 상품은 삼성화재 다이렉트 펫보험'으로 반려견과 반려묘를 기르는 반려인이라면 가입 대상이 된다. 복잡한 인증 절차 없이 반려동물 사진만 있으면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고 오프라인 보다 10% 가량 저렴하다. 최근 편의점에선 신선식품, 주류 판매 만큼이나 애완용품 매출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CU편의점에서 지난 3월~6월 애완용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1.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위생용품(21.7%) 즉석식품(17.2%) 식재료(16.7%) 보다 증가율이 높았다.
CU편의점을 운영하는 BGF리테일 관계자는 "평소 구매 빈도가 높지 않았던 반려동물 상품 판매량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급격히 늘고 있다"며 "반려동물 가구 1000만시대를 맞아 더욱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비대면 트렌드 확산에 급격히 성장 중인 분야가 또 있다. 바로 편의점 배달 서비스다. 전국 배송, 24시간 배송에 이어 최근에는 드론 배송까지 등장했다. GS25는 제주도에서 드론 배송을 통해 편의점 상품을 배달하는 서비스를 시범 운영 중이다. GS리테일 측은 드론 배송 네트워크가 본격적으로 상용화하면 연평도, 백령도, 마라도 등 도서 지역에 입점한 점포를 거점으로 인근 부속 도서·산간 지역 주민들에게도 신속하게 물품 배송이 가능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CU는 전국 50여 곳에서 운영하던 24시간 배달 서비스를 이달부터 전국 100개 점포로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약 3개월 간 테스트를 거친 결과 24시간 배달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반응이 긍정적이고, 가맹점의 매출도 상승했기 때문이다. CU에 따르면, 24시간 배달 서비스 운영점의 일 평균 배달 매출은 12시간 배달 서비스 운영점 대비 무려 6.9배나 높게 나타났다. 이에 CU는 24시간 배달 서비스 도입 점포수를 기존보다 2배로 늘렸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