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여파로 車시장 저성장 지속…2023년에나 회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보성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장 전망
"공급망 안정성 이슈 부각·밸류체인 디지털화 가속"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전세계 자동차 시장의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하며 2023년께나 작년 수준의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자동차 산업도 공급망 안정성 이슈가 부각되고 밸류체인(가치사슬)의 디지털화가 가속하는 등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보성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장은 최근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주최 세미나에서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자동차 판매가 급락해 상반기 세계 전체 판매량이 30%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은 작년 8천756만대에서 올해 7천만대 초반으로 감소해 전반적으로 20%가량의 감소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는 선진국의 수요 감소를 신흥국의 자동차 대중화 등으로 상쇄했지만 이번에는 선진국과 신흥국 모두 동반 침체하고 있어 완충재가 없다고 분석했다.
수요와 공급에 동시에 위기가 온 데다 자동차 산업 자체가 전환기에 진입한 상황인 점 등도 과거와 다른 측면이다. 이 소장은 "내년에는 기술적인 반등 효과가 커서 7천만대 후반까지 회복될 것"이라며 "다만 2023년이 돼야 작년 수준으로 회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내 자동차 시장의 경우 올해 내수 판매는 작년 대비 -1% 정도인 반면 수출은 아중동(아프리카·중동), 중남미에서 코로나가 계속 확산하면서 판매가 감소하고 있어 30∼40%대의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또 자동차 산업은 코로나 이후 '직접 접촉(contact)의 배제'와 '연결(connect) 방식의 변화'라는 사회 트렌드 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 업체들은 현지완결형 조달 체제를 구축해 수급을 안정화하는 것은 물론 공급망을 가시화해 리스크 발생시 신속하게 파악하고, 공급망 붕괴시 빠른 복원이 가능한 체제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동안 집중 발주를 통해 효율화를 추구했지만 코로나 초기 차량 핵심 부품인 '와이어링 하네스'를 생산하는 국내 협력업체의 중국 공장이 멈춰서 재고가 바닥나며 현대차가 공장 가동을 한동안 중단하는 등 영향을 받은 탓이다.
이와 함께 모빌리티 시장은 공유 서비스 기피 트렌드로 전환기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했다.
성장 속도는 다소 감소하고 대신 단독 이용이 가능하고 위생 관리가 용이한 점유형 모빌리티서비스로 수요가 이동할 것으로 봤다.
이 소장은 "일시적인 공유라는 개념보다는 일시적인 점유 방식으로 변할 것"이라며 "대중교통 대안으로 마이크로모빌리티가 부상하고 물류와 같은 사물 이동 투자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친환경 소비 의식 강화와 전기차 지원 정책 확대 등 우호적인 환경을 기반으로 전동화 확산은 지속할 전망이다.
또 고령층의 디지털 기술 이용률이 증가하는 등 디지털 경험이 일상화하며 니즈(요구)도 증가해 커넥티비티 성장은 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소장은 "자율주행의 경우 비대면 트렌드 확산으로 물류·배송 등 사물 이동 중심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다만 완전자율주행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대두하며 당분간 레벨 2·3의 주행 안전 보조 중심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이날 세미나에 이어 '2021 올해의 차(COTY)' 전반기 심사를 했다.
올해 상반기 출시된 신차(부분변경 모델 포함) 중 회원사 온라인 투표를 통해 1차 후보로 선정된 14개 브랜드 20대 신차가 대상이다. /연합뉴스
"공급망 안정성 이슈 부각·밸류체인 디지털화 가속"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전세계 자동차 시장의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하며 2023년께나 작년 수준의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자동차 산업도 공급망 안정성 이슈가 부각되고 밸류체인(가치사슬)의 디지털화가 가속하는 등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보성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장은 최근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주최 세미나에서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자동차 판매가 급락해 상반기 세계 전체 판매량이 30%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은 작년 8천756만대에서 올해 7천만대 초반으로 감소해 전반적으로 20%가량의 감소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는 선진국의 수요 감소를 신흥국의 자동차 대중화 등으로 상쇄했지만 이번에는 선진국과 신흥국 모두 동반 침체하고 있어 완충재가 없다고 분석했다.
수요와 공급에 동시에 위기가 온 데다 자동차 산업 자체가 전환기에 진입한 상황인 점 등도 과거와 다른 측면이다. 이 소장은 "내년에는 기술적인 반등 효과가 커서 7천만대 후반까지 회복될 것"이라며 "다만 2023년이 돼야 작년 수준으로 회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내 자동차 시장의 경우 올해 내수 판매는 작년 대비 -1% 정도인 반면 수출은 아중동(아프리카·중동), 중남미에서 코로나가 계속 확산하면서 판매가 감소하고 있어 30∼40%대의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또 자동차 산업은 코로나 이후 '직접 접촉(contact)의 배제'와 '연결(connect) 방식의 변화'라는 사회 트렌드 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 업체들은 현지완결형 조달 체제를 구축해 수급을 안정화하는 것은 물론 공급망을 가시화해 리스크 발생시 신속하게 파악하고, 공급망 붕괴시 빠른 복원이 가능한 체제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동안 집중 발주를 통해 효율화를 추구했지만 코로나 초기 차량 핵심 부품인 '와이어링 하네스'를 생산하는 국내 협력업체의 중국 공장이 멈춰서 재고가 바닥나며 현대차가 공장 가동을 한동안 중단하는 등 영향을 받은 탓이다.
이와 함께 모빌리티 시장은 공유 서비스 기피 트렌드로 전환기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했다.
성장 속도는 다소 감소하고 대신 단독 이용이 가능하고 위생 관리가 용이한 점유형 모빌리티서비스로 수요가 이동할 것으로 봤다.
이 소장은 "일시적인 공유라는 개념보다는 일시적인 점유 방식으로 변할 것"이라며 "대중교통 대안으로 마이크로모빌리티가 부상하고 물류와 같은 사물 이동 투자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친환경 소비 의식 강화와 전기차 지원 정책 확대 등 우호적인 환경을 기반으로 전동화 확산은 지속할 전망이다.
또 고령층의 디지털 기술 이용률이 증가하는 등 디지털 경험이 일상화하며 니즈(요구)도 증가해 커넥티비티 성장은 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소장은 "자율주행의 경우 비대면 트렌드 확산으로 물류·배송 등 사물 이동 중심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다만 완전자율주행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대두하며 당분간 레벨 2·3의 주행 안전 보조 중심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이날 세미나에 이어 '2021 올해의 차(COTY)' 전반기 심사를 했다.
올해 상반기 출시된 신차(부분변경 모델 포함) 중 회원사 온라인 투표를 통해 1차 후보로 선정된 14개 브랜드 20대 신차가 대상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