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넥스원이 개발에 참여해 해군 수상함에서 운용 중인 무기체계 모형. LIG넥스원 제공
LIG넥스원이 개발에 참여해 해군 수상함에서 운용 중인 무기체계 모형. LIG넥스원 제공
LIG넥스원이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6000t급)’에 탑재될 전투체계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전투체계란 함정의 두뇌를 의미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적 함정은 물론 전투기, 미사일 등을 탐지하고 대응 방안을 찾아내는 시스템이다.

방위사업청은 지난 4월 제126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이하 방추위) 회의를 열어 ‘한국형 구축함 전투체계 체계개발 기본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올해 4분기 중 계약이 체결될 예정으로 사업 기간은 2020∼2030년, 총사업비는 약 6700억원이다.

LIG넥스원은 그동안 레이더와 지휘·사격 통제 부문에서 쌓은 개발경험과 핵심 연구개발(R&D) 인력을 기반으로 전투체계에 필수적인 고도의 통합역량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LIG넥스원은 국방과학연구소의 시제업체로 참여해 그동안 수상함 및 잠수함에 탑재되는 유도·수중무기를 비롯한 함정용 탐색레이다 및 소나체계, 함정 전자전체계(SONATA), 함정용 다대역 다기능 무전기(TMMR) 등을 개발했다. 2018년에는 KAIST와 ‘스마트 국방 4.0 연구센터’를 개설하는 등 지능화된 통합지휘체계 기술력 확보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LIG넥스원이 개발하고 있는 KDDX 통합마스트 모형. LIG넥스원 제공
LIG넥스원이 개발하고 있는 KDDX 통합마스트 모형. LIG넥스원 제공
LIG넥스원은 또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력화된 면배열 능동위상배열레이다 무기체계인 ‘대포병탐지레이다-II’를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대우조선해양과 협력해 4년 6개월이라는 짧은 시간 내에 전투체계와 소나체계를 높은 수준으로 통합개발하는 ‘장보고-I 성능개량’ 사업의 통합전투체계 전력화를 완료하는 등 차별화된 기술력을 입증했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KDDX 사업을 통해 기존 이지스 체계 이상의 전투체계를 개발, 스마트 해군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