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종부세율 6%, 실제 과세대상 200명도 안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 의원은 14일 SNS에 "저는 지난 7월10일 발표된 부동산 대책을 담은 종합부동산세 개정법안을 공동발의했다"며 "법안이 흡족해서 그랬던 것은 아니다. 당정이 협의해서 만든 해법이기에 우선 발의하고 논의과정에서 미흡하거나 대책안에 담지 못한 부분은 보완하면 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라고 적었다.
김 의원은 "바람직한 주택시장이란 중위소득 가구가 청약통장에 가입하고 8~10년 정도 꾸준히 돈을 모아서 국민주택기금의 도움을 받아 내 집을 갖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이것이 국민의 여망이고, 이 여망을 이루는데 부동산 정책의 목표를 두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런데 이번 7·10 대책은 이런 여망과 거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첫째로 "부동산정책의 목표가 불확실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불로소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명확한데도 발등에 떨어진 불만 끄겠다고 생각한 것 같다"고 했다. 두번째로 "종합부동산세 최고세율에 문제가 많다"고 밝혔다. 최고세율 6%는 과표 대상 90억원 이상에만 적용하는데, 과세대상이 90억원이면 실거래가 또는 시중가격으로는 130억원 이상일 것이고, 이 구간의 실제 과세대상은 200명이 채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그는 "2018년 기준으로 189명이라는 정보도 있어 기재부에 자료를 요청해 둔 상태"라며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그냥 올리는 시늉만 했다는 비난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기존 주택임대사업자의 세제혜택에 대한 자동말소 시기나 일몰기한을 정하고 △2주택 취득세를 10% 이상 ,싱가포르 수준인 15%까지도 올리고 △‘증여’를 탈세통로로 활용하지 못하도록 법 개정을 할 것 등을 제안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