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하루새 18% 변동…커지는 기술주 거품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나스닥시장을 이끌던 기술주 주가가 크게 요동치면서 증권업계 일각에서 제기되는 '기술주 거품론'에 힘을 싣고 있다. 미국 월가에서도 테슬라 등 일부 종목의 상승세가 '비이성적 과열'이라는 지적이 연이어 나오고 있다.
테슬라는 지난 13일(현지시간) 3.08% 떨어진 1497.0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테슬라는 장중 15% 가까이 올랐다가 -3%까지 빠지며 18%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하루 사이에 시가총액이 60조원넘게 요동쳤다. 이날 나스닥시장서 애플·아마존·페이스북·넷플릭스도 같은 흐름을 보였다.
장 초반 상승세였던 주가가 기술주 거품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하락세로 줄줄이 돌아섰다. 나스닥지수는 장중 4% 넘게 등락한 끝에 2.13% 떨어진 10390.84에 거래를 끝냈다.
미국 시장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올 들어 257.86%나 오른 테슬라가 거품론의 중심이다. 월가의 헤지펀드 매니저인 마이크 노보그라츠 갤럭시디지털 대표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경제는 계속 침체되고 있지만 나스닥만 매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며 "비이성적 과열 상태, 전통적인 투기성 과열"이라고 지적했다. 블리클리자문그룹의 피터 브룩바 최고투자책임자도 "최근 기술주 장세의 주인공인 테슬라 주가에 거품이 끼어있다"고 꼬집었다. 월가의 유명 헤지펀드 매니저인 스탠드 드러켄밀러와 데이빗 테퍼도 거품론에 공감대를 나타냈다.
반대 의견도 나온다. 미국 투자정보회사 바이탈 놀리지의 애덤 크라샤풀리 창업자는 "기업의 기초체력이나 가치평가와 같은 전통적인 기준을 가지고 (기술주) 투자자를 설득하려는 건 시간낭비"라면서 "이들의 유망한 사업모델과 재무제표의 안정성이 투자를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밤사이 미국시장이 요동치자 한국 주식시장에도 충격파가 전해졌다. 이날 플랫폼주로 분류되는 네이버와 카카오는 모처럼 큰폭으로 조정을 받았다. 테슬라 주가의 영향을 받는 삼성SDI, LG화학 등도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실적이 뒷받침되는 기술주와 테마성으로 오르는 기술주를 구별해야 할 시점이 됐다"며 "실적없이 과열됐던 기술주들은 당분간 조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테슬라는 지난 13일(현지시간) 3.08% 떨어진 1497.0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테슬라는 장중 15% 가까이 올랐다가 -3%까지 빠지며 18%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하루 사이에 시가총액이 60조원넘게 요동쳤다. 이날 나스닥시장서 애플·아마존·페이스북·넷플릭스도 같은 흐름을 보였다.
장 초반 상승세였던 주가가 기술주 거품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하락세로 줄줄이 돌아섰다. 나스닥지수는 장중 4% 넘게 등락한 끝에 2.13% 떨어진 10390.84에 거래를 끝냈다.
미국 시장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올 들어 257.86%나 오른 테슬라가 거품론의 중심이다. 월가의 헤지펀드 매니저인 마이크 노보그라츠 갤럭시디지털 대표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경제는 계속 침체되고 있지만 나스닥만 매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며 "비이성적 과열 상태, 전통적인 투기성 과열"이라고 지적했다. 블리클리자문그룹의 피터 브룩바 최고투자책임자도 "최근 기술주 장세의 주인공인 테슬라 주가에 거품이 끼어있다"고 꼬집었다. 월가의 유명 헤지펀드 매니저인 스탠드 드러켄밀러와 데이빗 테퍼도 거품론에 공감대를 나타냈다.
반대 의견도 나온다. 미국 투자정보회사 바이탈 놀리지의 애덤 크라샤풀리 창업자는 "기업의 기초체력이나 가치평가와 같은 전통적인 기준을 가지고 (기술주) 투자자를 설득하려는 건 시간낭비"라면서 "이들의 유망한 사업모델과 재무제표의 안정성이 투자를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밤사이 미국시장이 요동치자 한국 주식시장에도 충격파가 전해졌다. 이날 플랫폼주로 분류되는 네이버와 카카오는 모처럼 큰폭으로 조정을 받았다. 테슬라 주가의 영향을 받는 삼성SDI, LG화학 등도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실적이 뒷받침되는 기술주와 테마성으로 오르는 기술주를 구별해야 할 시점이 됐다"며 "실적없이 과열됐던 기술주들은 당분간 조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