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은 16일 이스타항공의 인수·합병(M&A)에 대해 주식매매계약(SPA) 해제 조건을 충족했다는 입장을 내놨다.  계약 해제 조건이 충족에 방점을 찍는 동시에 뚜렷한 딜 클로징(종료) 시점 연장이 배제되면서 파국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이 나온다. 다만 제주항공은 정부의 중재노력이 진행 중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제주항공은 16일 이스타항공의 인수·합병(M&A)에 대해 주식매매계약(SPA) 해제 조건을 충족했다는 입장을 내놨다. 계약 해제 조건이 충족에 방점을 찍는 동시에 뚜렷한 딜 클로징(종료) 시점 연장이 배제되면서 파국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높다는 해석이 나온다. 다만 제주항공은 정부의 중재노력이 진행 중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전이 무산될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제주항공이 16일 이스타항공의 인수·합병(M&A)에 대해 "주식매매계약(SPA) 해제 조건을 충족했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다. 이스타항공이 계약 선행조건 이행 요청을 이행하지 않았다고 잘못이 이스타항공에 있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제주항공은 다만 정부의 중재노력이 진행 중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 결정을 내리겠다며 딜 클로징(종료) 최종 시점은 미뤘다.

그러나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의 귀책 사유를 들어 인수·합병(M&A) 계약 해제 조건에 도달했다고 못 박았다는 점에서 사실상 인수·합병(M&A)이 파기 수순으로 치달을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제주항공은 이날 이스타항공 인수 관련 입장문을 통해 "지난 15일 자정까지 이스타홀딩스가 SPA 선행조건을 완결하지 못해 계약을 해제할 수 있게 됐다"고 못 박았다.

제주항공은 "전날 이스타홀딩스로부터 계약 이행과 관련해 받은 공문에 따르면 제주항공의 계약 선행조건 이행 요청에 대해 사실상 진전된 사항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제주항공은 지난 1일 이스타항공에 15일까지 선결 조건을 이행하지 않으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공문을 보낸 바 있다.

이스타항공은 미지급금 1700억원 중 3월 이후 발생한 800억∼1000억원 해소를 위해 리스사와 조업사, 정유사 등에 비용 탕감을 요청했으나 어려움을 겪어 선결 조건을 모두 마무리짓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항공은 "계약 해제 조건이 충족됐음을 밝힌다"면서도 "다만, 정부의 중재노력이 진행 중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계약 해제 최종 결정 및 통보 시점을 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제주항공이 당장 계약 해제 절차를 밟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취한 것이다. 다만 시간을 더 가지더라도 계약 성사 가능성은 낮다는 게 업계의 예상이다.
제주항공은 16일 이스타항공의 인수·합병(M&A)에 대해
제주항공은 16일 이스타항공의 인수·합병(M&A)에 대해 "주식매매계약(SPA) 해제 조건을 충족했다"는 입장을 내놨다. 다만 정부의 중재노력이 진행 중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 결정을 내리겠다며 딜 클로징(종료) 시점을 미뤘다. 사진=뉴스1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 인수 이후 동반 부실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 인수 계약을 파기할 경우 이스타항공이 파산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올 1분기 기준 이스타항공의 자본총계는 -1042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법정관리에 돌입한다면 기업 회생이 아닌 기업 청산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사회적 비난을 면치 못할 뿐더러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가 중재에 나선 상황도 부담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 인수시 정부에서 지원받기로 한 1700억원 외에 추가적인 금융·정책 지원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