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내 보조배터리 반입과 관련된 규정이 강화되는 등 배터리 화재에 대한 경각심이 전 세계적으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륙 후 잃어버린 휴대전화 때문에 회항하는 소동이 벌어졌다.2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지난 21일 프랑스 파리 오를리 공항을 출발해 카리브해 프랑스령 과들루프로 향하던 에어프랑스의 보잉777 항공기는 이륙 후 승객이 휴대전화를 잃어버려 찾지 못하자 출발지로 돌아왔다. 당시 비행기에는 승객 375명과 승무원 12명이 탑승해 있었다.출발 2시간 만에 출발지인 오를리 공항에 도착한 뒤 직원들이 문제의 휴대전화를 발견했고, 다시 목적지를 향해 출발했다. 다만 에어프랑스 측은 어디서 분실됐고 발견됐는지 밝히지 않았다. 다시 출발한 비행기는 목적지에 예정보다 약 4시간 늦게 도착한 것으로 전해졌다.에어프랑스는 이번 소동과 관련해 "고객과 승무원의 안전이 우리 항공사의 최우선순위"라고 강조했다.프랑스에서는 지난 2월에도 파리 샤를드골 공항에서 출발한 에어프랑스 항공기가 좌석 틈에 떨어진 승객의 휴대전화를 회수하기 위해 다시 출발지로 되돌아온 일이 있었다.WP는 에어프랑스의 회항 결정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항공 업계에서 휴대전화나 보조배터리 등에 장착된 리튬 배터리 화재 관련 경각심이 커지고 있는 상황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짚었다.그러면서 지난 1월 에어부산 항공기에 보조배터리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해 승객들이 활주로에서 대피한 일이 있었다고 전했다.미 항공안전재단(FSF)의 하산 샤히디 대표는 "휴대전화가 좌석 틈에 낀 상태로 압력이 가해진다면 위험할 수 있다"며 "비행기를 되돌린 에
미국 국무부가 학생 비자 신청자에 대한 심사 절차를 대폭 확대한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까지 확인해 테러를 옹호하는 것으로 보이는 신청자들에 대해 비자 거부한다는 방침이다.28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은 미 국무부가 지난 25일 이 같은 내용의 외교 전문을 각 영사관에 내려보냈다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국무부는 '테러 옹호'의 의미를 광범위하게 정의하고 비자 발급 거부의 새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다.새 지침에 따르면 신청자가 테러 활동을 옹호하거나, 테러 활동이나 단체에 대한 일정 수준의 공개 지지 혹은 옹호를 입증하는 증거가 있다면 비자 발급 거부의 근거가 될 수 있다.이번 지침은 신규 및 갱신 F, M, J 학생비자 신청자를 대상으로 한다. 영사관 직원이 비자 신청자의 온라인 활동을 파헤치기 위해 SNS를 의무적으로 검토하도록 지시하고 있다. 영사관 직원은 모든 비자 신청자의 SNS를 검토해 미 정부가 국가안보 혹은 테러에 대한 위협으로 정의하는 활동의 증거들을 조사해야 한다.만일 의심스러운 요소가 감지되면 비자 심사 부서에서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SNS 콘텐츠의 스크린숏을 찍어 영구 디지털 기록을 생성하고, 입국 거부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자 부적격과 관련된 범위 내에서 스크린숏을 보존하고 신청자의 사례 기록에 업로드해야 한다. 게시물이 변경, 삭제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갱신된 비자 심사 과정은 외국 테러리스트와 반(反)유대주의 퇴치에 관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언급하고 있다. 이 같은 방침은 국가 안보를 위한 결정이라는 설명이다.이번 지침은 SNS에서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게시물을 올리거나 미 외교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