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를 요구함에 따라 중국 당국도 같은 수준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연합뉴스
미국이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를 요구함에 따라 중국 당국도 같은 수준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연합뉴스
미국이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를 요구함에 따라 중국 당국도 같은 수준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3일 베이징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휴스턴 주재 총영사관의 폐쇄 시점에 맞춰 중국 내 미국 총영사관 1곳을 폐쇄하는 조치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통상적으로 중국은 미국이나 영국 등 서방국들로부터 제재를 받을 경우 같은 방식과 같은 수준으로 대응해왔기 때문이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이 우한(武漢) 주재 미국 영사관 폐쇄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우한 주재 미국 영사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병 당시 인원이 철수했다가 최근 다시 복귀하려 하는 과정에서 미중간 갈등을 빚고 있는 곳이다.

중국은 우한 영사관으로 복귀하는 인원들이 핵산 검사를 받아야 하는 입장이지만, 미국은 중국에서 핵산 검사를 할 경우 자국민의 유전자 등 개인 정보가 넘어간다며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후시진(胡錫進) 환구시보(環球時報) 총편집인은 자신의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계정을 통해 "로이터 보도는 사실이 아닐 것"이라면서 "중국은 우한 이외의 다른 영사관을 상대로 보복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주장했다.

후시진은 "우한 영사관은 이미 미국의 철수가 준비된 곳이라 중국이 휴스턴에서 떠나는 것과는 피해의 차원이 다르다"면서 "따라서 중국은 미국이 생각하지 못한 곳을 공격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홍콩의 미국 총영사관을 폐쇄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지만, 이는 중국 정부로서도 부담스러울 것이라는 해석이다. 중국 본토에는 미국 영사관이 5곳이나 있지만 홍콩의 경우 유일해 이곳이 폐쇄될 경우 홍콩의 경제 및 금융이 치명타를 입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후시진은 "홍콩 총영사관을 폐쇄하지 않더라도 그 인원을 절반으로 줄이게만 해도 미국은 매우 아파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