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대화' 외면한 민노총 강경파…김명환 위원장 끝내 사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7일부터 비대위 체제 전환

김경자 수석부위원장, 백석근 사무총장 등 지도부도 함께 물러나기로 했다. 민주노총은 김 위원장 등 지도부의 사퇴를 공식처리하고 오는 27일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비대위 체제로 전환한다.
김 위원장은 "임시대의원 대회를 추진하는 과정에 민주노총 내부의 어려움을 끼치게 된 점을 머리 숙여 사과한다"며 "국민 전체와 호흡하는 민주노총이 되기를 지금도 바라고 있지만 오로지 저희의 부족함으로 그런 호소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노사정 합의 최종안 승인을 호소했지만 부결됐다"며 "온라인 임시대의원 대회 투표를 통해 확인된 대의원 여러분의 뜻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수용하겠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민주노총의 지도부로서 조합원, 각급 대표자들에게 제안 드린 것은 최종안 승인만은 아니었다"며 "이것을 디딤돌로 높아진 민주노총의 사회적 위상과 발언의 힘으로 취약계층, 사각지대의 노동자, 국민들과 함께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자본, 노동의 책임을 다하는 실천으로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가고자 함이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저희의 실천의지가 실현되지 못하고 물러나지만 다시 현장의 노동자, 조합원으로 돌아가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과 활동을 멈추지 않겠다"고 했다.
이후 지난 1일 노사정 합의안 서명을 위한 협약식이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합의안을 반대하는 민주노총 내 강경파가 김 위원장의 협약식 참석을 막아서면서 합의가 무산됐다. 지난 2일 민주노총 중앙집행위원회에서도 반대 여론이 과반수를 넘기면서 합의가 또 한번 불발됐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