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 현대차와 합작법인 업무협약…수소 관련 사업·보급에 박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혁신하는 공기업
![채희봉 한국가스공사 사장(앞줄 오른쪽)과 지영조 현대자동차 사장(왼쪽)이 지난 14일 ‘융복합형 수소충전소 사업 협력 MOU’ 체결식에서 악수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319248.1.jpg)
![한국가스공사, 현대차와 합작법인 업무협약…수소 관련 사업·보급에 박차](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319264.1.jpg)
가스공사와 현대차는 수소 관련 다른 공동사업도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 해외 수소 도입, 액화수소 생산 및 이를 활용할 충전인프라 기술, 이산화탄소 포집·저감 활용 및 친환경 수소생산 기술 관련 협력 등이 대표적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수소경제를 선도하는 대표적인 기업과 기관이 협력하기로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가스공사는 정부의 수소경제 관련 정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난 1일에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수소 전담기관’ 공모에서 ‘수소 유통 전담기관’으로 선정됐다. 가스공사는 앞으로 수소 유통체계 확립, 수소 거래 및 적정 가격 유지, 수소 수급 관리, 유통질서 확립을 위한 점검·지도, 수소 충전소에 관한 정보 수집 및 제공 등 수소 유통 전반에 걸쳐 사업을 이행할 계획이다.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은 수소경제위원회 전문위원으로서 ‘수소경제 컨트롤 타워’에서 국가 차원의 수소경제 도입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가스공사가 수소경제의 ‘선봉장’ 역할을 맡은 것은 수소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인프라 및 노하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가스공사는 전국에 촘촘히 뻗어 있는 4908㎞의 가스 배관과 주요 거점에 있는 411곳의 공급관리소를 보유하고 있다. 수소 인프라 구축에 활용할 수 있는 자산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수소 유통체계와 거래 및 가격 유지, 이용설비 관리 등에도 가스를 유통해 판매할 때 얻은 노하우를 적용할 수 있다”며 “공공기관으로서 신산업 분야 발전의 마중물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가스공사가 지난해 4월 발표한 ‘수소사업 추진전략’에 따르면 공사는 2030년까지 수소 관련 사업에 4조7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수소 생산·공급·유통과 기술개발 등 수소산업의 전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공공기관으로서 선도적 투자를 펼쳐 수소경제 활성화를 견인한다는 게 가스공사의 목표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