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용보증재단, '1자치구 1지점' 체제 8월 완성…소상공인 '밀착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혁신하는 공기업
지역신용보증재단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새삼 많은 주목을 받았다. 코로나19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 금융 지원 업무에서 보증 지원이란 핵심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이다. 서울신용보증재단도 그랬다. 대출 수요가 폭발한 지난 3월부터 전 직원을 보증 심사에 투입했다. 4월엔 하루 평균 약 2000건의 보증을 처리했다. 전국 신용보증재단 최대 규모였다.
서울신용보증재단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지원 업무를 잘 해낼 수 있었던 것은 이전부터 업무 역량을 착실히 향상시켜 온 노력 덕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2018년 9월 한종관 이사장 취임 이후 추진해온 ‘지역밀착형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이 대표적이다. “지역의 영세업체·소상공인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가 다각적으로 지원해주자”는 목표로 추진하는 정책이다.
재단은 그 일환으로 서울시 25개 모든 자치구에 한 개 이상의 지점을 세우기로 했다. 2012년 17번째 도봉지점 설치가 마지막이어서 8개 구엔 지점이 없었다. 재단은 서울시와 서울시의회를 적극 설득해 작년 하반기 5개 구에 지점을 추가하는 데 성공했다. 올해도 3개 지점을 세운다. 27일 서초지점과 성북지점이 문을 열었다. 다음달엔 노원지점이 설치된다. 이렇게 되면 재단은 ‘1자치구 1지점’ 체제를 갖춘다.
‘종합지원’을 구현하기 위해선 골목상권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개별 사업자가 아니라 지역·상권 단위로 교육부터 컨설팅, 시설 개선, 금융까지 일괄 지원하는 방식이다. 재단 관계자는 “경영난에 빠진 소상공인에 대한 유동성 지원도 중요하지만 이들의 경쟁력을 끌어올려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도록 하는 게 근본적인 처방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골목상권 활성화 사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지점별로 상인회와 구, 재단, 대학이 지역협의체를 구성한다. 이른바 ‘민·관·공·학’ 협의체다. 이어 각 주체가 머리를 맞대고 최적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한다. 지역 상인의 수요에 맞춰 시설 자금 지원과 경영컨설팅, 보증 지원 등 서비스를 재단과 구가 제공한다.
공공이 직접 지원하기 어려운 영역은 대학이 담당한다. 일례로 한성대는 지난해 대학원 교과 과정에 ‘소상공인 컨설팅’ 과목을 신설해 한성대 주변 15개 업체에 무료 컨설팅을 제공했다. 동대문구에선 경희대가 골목상권 활성화에 나섰다. 경희대 디자인 전공 대학생들은 지역 상가에 각 업체 특성을 살린 조형물을 제작해주고 있다. 대학은 여기에 필요한 비용을 학교 예산으로 지원해줬다. 재단 관계자는 “작년 5개 자치구에서 시범 사업을 시작한 골목상권 활성화 사업을 올해는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할 것”이라며 “재단이 현장의 목소리를 구·시에 전달해 맞춤형 정책을 개발하는 데도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
서울신용보증재단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지원 업무를 잘 해낼 수 있었던 것은 이전부터 업무 역량을 착실히 향상시켜 온 노력 덕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2018년 9월 한종관 이사장 취임 이후 추진해온 ‘지역밀착형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이 대표적이다. “지역의 영세업체·소상공인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가 다각적으로 지원해주자”는 목표로 추진하는 정책이다.
재단은 그 일환으로 서울시 25개 모든 자치구에 한 개 이상의 지점을 세우기로 했다. 2012년 17번째 도봉지점 설치가 마지막이어서 8개 구엔 지점이 없었다. 재단은 서울시와 서울시의회를 적극 설득해 작년 하반기 5개 구에 지점을 추가하는 데 성공했다. 올해도 3개 지점을 세운다. 27일 서초지점과 성북지점이 문을 열었다. 다음달엔 노원지점이 설치된다. 이렇게 되면 재단은 ‘1자치구 1지점’ 체제를 갖춘다.
‘종합지원’을 구현하기 위해선 골목상권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개별 사업자가 아니라 지역·상권 단위로 교육부터 컨설팅, 시설 개선, 금융까지 일괄 지원하는 방식이다. 재단 관계자는 “경영난에 빠진 소상공인에 대한 유동성 지원도 중요하지만 이들의 경쟁력을 끌어올려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도록 하는 게 근본적인 처방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골목상권 활성화 사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지점별로 상인회와 구, 재단, 대학이 지역협의체를 구성한다. 이른바 ‘민·관·공·학’ 협의체다. 이어 각 주체가 머리를 맞대고 최적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한다. 지역 상인의 수요에 맞춰 시설 자금 지원과 경영컨설팅, 보증 지원 등 서비스를 재단과 구가 제공한다.
공공이 직접 지원하기 어려운 영역은 대학이 담당한다. 일례로 한성대는 지난해 대학원 교과 과정에 ‘소상공인 컨설팅’ 과목을 신설해 한성대 주변 15개 업체에 무료 컨설팅을 제공했다. 동대문구에선 경희대가 골목상권 활성화에 나섰다. 경희대 디자인 전공 대학생들은 지역 상가에 각 업체 특성을 살린 조형물을 제작해주고 있다. 대학은 여기에 필요한 비용을 학교 예산으로 지원해줬다. 재단 관계자는 “작년 5개 자치구에서 시범 사업을 시작한 골목상권 활성화 사업을 올해는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할 것”이라며 “재단이 현장의 목소리를 구·시에 전달해 맞춤형 정책을 개발하는 데도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