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노위 위원장 "민노총 없이 사회적 대화…文대통령과 합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1대 국회 환노위 전체회의
민노총 출신 문성현 위원장의 단언
"민노총, 대화 DNA 갖추지 못해"
민노총 출신 문성현 위원장의 단언
"민노총, 대화 DNA 갖추지 못해"
![지난 27일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에서 열린 제14차 임시 중앙집행위원회에서 백석근 전 사무총장, 김명환 전 위원장, 김경자 전 수석부위원장이 인사를 하고 있다. 김 전 위원장은 지난 2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 부결에 책임지고 사퇴했다.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01.23342390.1.jpg)
문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1차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통해 "앞으로 민노총이 스스로 사회적 대화를 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지 않는 한 사회적 대화 참여는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나마 사회적 대화의 DNA, 즉 돌아가서 추인을 받는 과정 없이 대표자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조직, 내가 절실히 필요한 것이 있으면 상대방에게 절박한 것 하나를 뜯어줄 수 있는 그런 자세가 돼 있는 조직은 현재로선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노총)이 유일하다"고 덧붙였다.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이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01.23342398.1.jpg)
민노총은 지난 4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원 포인트' 노사정 사회적 대화를 처음으로 제안했지만, 정작 한 달 반 동안의 논의 끝에 만든 결과물인 협약에 대해 내부 추인을 받지 못해 최종 불참했다. 이에 김명환 민노총 위원장은 책임지고 자리에서 물러났다.
문 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민노총에서 '반찬이 맘에 들지 않는다고 밥상을 걷어찬 것이다', '압도적 지지를 받은 직선 위원장을 정파들이 무시하고 있다' 이런 것들이 모두 내부에서 나온 말"이라며 "이런 얘기들을 종합할 때 민노총이 스스로 사회적 대화를 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지 않는 한 앞으로 (민노총 없이) 그렇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8일 서울 종로구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노사정 협약식에서 근로자위원, 사용자위원, 정부위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 문 대통령,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01.2334241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