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인텔·TSMC, 상반기 장사 누가 잘했나…"반도체 지각변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TSMC, 삼성 제치고 올 상반기 반도체 업계 2위
인텔, 1위 지켰지만 미래 전망 어두워
전문 분야 집중 기업들이 종합 반도체 기업 밀어낼까
인텔, 1위 지켰지만 미래 전망 어두워
전문 분야 집중 기업들이 종합 반도체 기업 밀어낼까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에 특화된 대만 TSMC를 비롯해 '잘할 수 있는' 전문 분야에 집중하는 업체가 그간 인텔과 삼성전자를 필두로 반도체 시장을 주도했던 전통적인 종합 반도체 기업(IDM)을 밀어내며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어서다.
올 상반기 성적표를 보면 반도체 '전통의 강자' 인텔의 위상에 금이 간 가운데 2017~2018년 '메모리 슈퍼사이클'에 힘입어 반도체 업계 연간 영업이익·매출 1위에 올랐던 삼성전자도 올 상반기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TSMC에 밀려 3위로 추락했다. 종합 반도체 기업보다 '선택과 집중' 전략을 택한 특화 기업이 시장을 재편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30일 삼성전자는 2분기 확정실적을 발표하며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서 매출액 18조2300억원·영업익 5조4300억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DS부문 분기별 영업이익이 5조원을 넘은 건 2018년 4분기(8조5000억원) 이후 처음이다. 올 1분기에는 매출 17조6400억원, 영업익 3조9900억원을 기록했다.
올 상반기 삼성전자의 DS부문 매출은 35조8700억원, 영업익 9조4200억원.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활동이 확산되자 서버용 메모리 수요가 크게 늘어나며,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크게 하락했던 지난해와 달리 호실적을 거뒀다는 평이 나온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DS부문 연간 영업이익은 15조5800억원이었다. '반도체 호황'이었던 2017년 연간 40조3300억원, 2018년 46조5200억원과 비교하면 낮은 수치다.
지난해의 부진을 털고 올 상반기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지만,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처지다. 파운드리만 하는 TSMC가 삼성전자를 밀어내고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거둬서다. TSMC는 올 상반기 매출 약 25조원(207억 달러) 영업익 약 10조4000억원(8억6500만 달러)를 달성했다. 삼성전자보다 매출은 뒤지지만 수익성은 앞선다.
반도체 기업의 실적을 비교할 때 반도체 판매 가격 뿐 아니라 라인 증설 등 시설투자 여부도 영업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단순 비교는 무의미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상반기 전체 실적에서는 TSMC에 밀렸지만, 2분기 자체만 보면 TSMC를 앞지른 삼성전자는 "고객사의 재고 확보 움직임으로 상반기 파운드리 사업에서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D램 낸드플래시 파운드리 팹리스(반도체 설계) 등 삼성전자가 반도체 종합 포트폴리오에서 거둔 상반기 영업익이 TSMC의 파운드리 사업 하나보다 작다는 사실은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향후 전문 기업으로 무게중심이 이동되고 있는 것에 대한 반증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글로벌 반도체 업계는 TSMC 등 파운드리 기업과 미국 엔비디아, AMD 등 팹리스 등 전문 기업과 최근 크게 흔들리고 있는 반도체 전통 강자 인텔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인텔의 상반기 매출은 약 47조6000억원(395억 달러), 영업이익 15조3000억원(127억 달러)다. 매출과 영업익 기준으로 모두 세계 1위의 실적임에도 2분기 실적 발표 당시 주가는 폭락했다.
그간 칩을 자체적으로 생산하던 인텔이 7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공정 기반 중앙기억장치(CPU) 생산을 다른 파운드리 업체에 맡길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CPU 경쟁사인 AMD가 지난해 이미 7나노 CPU를 출시한 상황에서 인텔은 오히려 7나노 공정 양산에서 차질을 빚으며 출시가 6개월가량이나 지연된 것이다.
인텔은 앞서 PC에서 모바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제때 대응하지 못해 한차례 위기를 맞은 바 있다. 최근에는 이 같이 차세대 반도체 경쟁에서 뒤처지는 모습을 보이면서 위기론이 재부상하고 있다. 오랜 협력관계였던 애플이 지난달 세계개발자회의(WWDC)에서 인텔의 반도체를 쓰지 않겠다고 밝힌 것도 그간 초미세공정 경쟁에서 밀리고 있는 인텔에 대한 불만이 쌓이고 쌓였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글로벌 반도체 업계 시가 총액 1위(455조6500억원·28일 기준) TSMC에 쏠리고 있는 이유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전 세계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TSMC가 인텔의 파운드리 물량을 배정받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TSMC는 이미 인텔의 그래픽칩(GPU), 모뎀칩을 위탁생산하고 있다. 일부 외신 역시 인텔이 7나노 최적화 버전인 6나노 프로세스 위탁 생산에 대해 TSMC와 합의에 도달했다고 보도했다.
인텔로부터의 반도체 독립을 공식화한 애플의 파운드리 물량을 TSMC가 가져가는 것이 사실상 확정된 상태에서 인텔의 물량마저 추가로 배정받는다면 삼성전자와 격차는 더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의 최근 집계에 따르면, 2분기에 TSMC는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에서 점유율 51.5%로 압도적인 1위를, 삼성전자가 18.8%로 2위를 기록할 전망이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
올 상반기 성적표를 보면 반도체 '전통의 강자' 인텔의 위상에 금이 간 가운데 2017~2018년 '메모리 슈퍼사이클'에 힘입어 반도체 업계 연간 영업이익·매출 1위에 올랐던 삼성전자도 올 상반기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TSMC에 밀려 3위로 추락했다. 종합 반도체 기업보다 '선택과 집중' 전략을 택한 특화 기업이 시장을 재편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30일 삼성전자는 2분기 확정실적을 발표하며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서 매출액 18조2300억원·영업익 5조4300억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DS부문 분기별 영업이익이 5조원을 넘은 건 2018년 4분기(8조5000억원) 이후 처음이다. 올 1분기에는 매출 17조6400억원, 영업익 3조9900억원을 기록했다.
올 상반기 삼성전자의 DS부문 매출은 35조8700억원, 영업익 9조4200억원.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활동이 확산되자 서버용 메모리 수요가 크게 늘어나며,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크게 하락했던 지난해와 달리 호실적을 거뒀다는 평이 나온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DS부문 연간 영업이익은 15조5800억원이었다. '반도체 호황'이었던 2017년 연간 40조3300억원, 2018년 46조5200억원과 비교하면 낮은 수치다.
지난해의 부진을 털고 올 상반기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지만,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처지다. 파운드리만 하는 TSMC가 삼성전자를 밀어내고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거둬서다. TSMC는 올 상반기 매출 약 25조원(207억 달러) 영업익 약 10조4000억원(8억6500만 달러)를 달성했다. 삼성전자보다 매출은 뒤지지만 수익성은 앞선다.
반도체 기업의 실적을 비교할 때 반도체 판매 가격 뿐 아니라 라인 증설 등 시설투자 여부도 영업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단순 비교는 무의미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상반기 전체 실적에서는 TSMC에 밀렸지만, 2분기 자체만 보면 TSMC를 앞지른 삼성전자는 "고객사의 재고 확보 움직임으로 상반기 파운드리 사업에서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D램 낸드플래시 파운드리 팹리스(반도체 설계) 등 삼성전자가 반도체 종합 포트폴리오에서 거둔 상반기 영업익이 TSMC의 파운드리 사업 하나보다 작다는 사실은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향후 전문 기업으로 무게중심이 이동되고 있는 것에 대한 반증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글로벌 반도체 업계는 TSMC 등 파운드리 기업과 미국 엔비디아, AMD 등 팹리스 등 전문 기업과 최근 크게 흔들리고 있는 반도체 전통 강자 인텔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인텔의 상반기 매출은 약 47조6000억원(395억 달러), 영업이익 15조3000억원(127억 달러)다. 매출과 영업익 기준으로 모두 세계 1위의 실적임에도 2분기 실적 발표 당시 주가는 폭락했다.
그간 칩을 자체적으로 생산하던 인텔이 7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공정 기반 중앙기억장치(CPU) 생산을 다른 파운드리 업체에 맡길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CPU 경쟁사인 AMD가 지난해 이미 7나노 CPU를 출시한 상황에서 인텔은 오히려 7나노 공정 양산에서 차질을 빚으며 출시가 6개월가량이나 지연된 것이다.
인텔은 앞서 PC에서 모바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제때 대응하지 못해 한차례 위기를 맞은 바 있다. 최근에는 이 같이 차세대 반도체 경쟁에서 뒤처지는 모습을 보이면서 위기론이 재부상하고 있다. 오랜 협력관계였던 애플이 지난달 세계개발자회의(WWDC)에서 인텔의 반도체를 쓰지 않겠다고 밝힌 것도 그간 초미세공정 경쟁에서 밀리고 있는 인텔에 대한 불만이 쌓이고 쌓였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글로벌 반도체 업계 시가 총액 1위(455조6500억원·28일 기준) TSMC에 쏠리고 있는 이유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전 세계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TSMC가 인텔의 파운드리 물량을 배정받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TSMC는 이미 인텔의 그래픽칩(GPU), 모뎀칩을 위탁생산하고 있다. 일부 외신 역시 인텔이 7나노 최적화 버전인 6나노 프로세스 위탁 생산에 대해 TSMC와 합의에 도달했다고 보도했다.
인텔로부터의 반도체 독립을 공식화한 애플의 파운드리 물량을 TSMC가 가져가는 것이 사실상 확정된 상태에서 인텔의 물량마저 추가로 배정받는다면 삼성전자와 격차는 더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의 최근 집계에 따르면, 2분기에 TSMC는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에서 점유율 51.5%로 압도적인 1위를, 삼성전자가 18.8%로 2위를 기록할 전망이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