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계소문] KBS, 또 문제된 '재난방송' 역할…수신료 인상 전 가치 회복부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수영의 연계소문]
연(예)계 소문과 이슈 집중 분석
KBS, 부산 폭우 상황 속 음악방송 송출 '뭇매'
또 다시 문제된 재난주관방송사로서의 역할
"부산에서는 수신료 받지마" 시청자 청원 올라와
KBS, TV 재난방송 현황표 공개하며 적극 해명
수신료 인상 추진 상황 속 시청자 반감만 쌓아
연(예)계 소문과 이슈 집중 분석
KBS, 부산 폭우 상황 속 음악방송 송출 '뭇매'
또 다시 문제된 재난주관방송사로서의 역할
"부산에서는 수신료 받지마" 시청자 청원 올라와
KBS, TV 재난방송 현황표 공개하며 적극 해명
수신료 인상 추진 상황 속 시청자 반감만 쌓아
'오늘밤 김제동'에 이어 이번에는 음악방송이다. KBS가 부산 침수 피해가 심각한 상황에서 기상 특보가 아닌, 정규 방송을 내보내면서 시청자들로부터 십자포화를 당했다. 지난해 강원도 산불 당시 재난주관방송사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개선을 약속했던 KBS의 대응이 여전히 부실하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수신료 인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불거진 이 같은 논란에 시청자들의 반감만 더 커지는 모양새다.
지난달 23일 오후 부산에서는 시간당 80mm가 넘는 기록적인 폭우가 내렸다. 사망자가 발생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의 집중 호우였지만 재난주관방송사인 KBS는 오후 10시 이후 1TV에서 '다큐 인사이트', '더 라이브'를 예정대로 내보냈다. 11시 40분 'KBS 뉴스라인'에서는 20여 분 동안 부산 지역 폭우 상황이 전해졌으나, 호우가 집중되던 시간인 밤 12시 이후 여전히 특보 없이 음악프로그램인 '올댓뮤직'이 정상 방송됐다. 2TV도 마찬가지로 수목드라마 '출사표'와 예능프로그램 '살림하는 남자들'이 전파를 탔다.
특보가 나온 시간은 '올댓뮤직'이 방송되고 난 뒤 24일 오전 1시경, 약 25분 동안이었다. 폭우로 인한 피해가 점차 커지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재난주관방송사인 KBS가 그대로 정규 방송을 내보냈다는 점은 비판을 피하기 어려웠다. 시청자들은 "호우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지하기 어려울 정도였다"며 거센 지적을 이어갔다. 이에 KBS는 TV 재난방송 현황표까지 공개하며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KBS는 "23일 오전부터 인터넷과 라디오, TV를 통해 선제적, 예방적 정보와 행동 요령을 전하며 경남 지역과 강원 영동 동해안 지역에 내릴 집중 호우의 위험성을 전했다. 이어 KBS재난방송센터는 23일 오전 9시 20분 재난방송 1단계에 해당하는 '하단 스크롤' 자막 방송을 실시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또 "방송 뉴스의 경우 2시, 5시, 7시, 9시, 뉴스라인 등의 메인뉴스를 통해 집중호우를 다뤘고, 9시 뉴스에서는 경남 상황을 톱으로 방송했다. 7시, 9시 뉴스에서는 부산지역의 위험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당시만 해도 기상청 통보문에는 부산이 위험 지역으로 특정돼 있지 않았다. 그럼에도 KBS 재난방송센터는 기상전문기자들의 정밀 분석에 따라 부산을 위험지역으로 지목하고 부산 온천천 CCTV 화면과 일기도, 누적 강우량을 보여주며 경고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국 단위의 정규 뉴스 이외의 지역과 전국 단위의 뉴스특보를 편성해 대응했다. 부산방송총국에서는 23일 16시 45분부터 12분 동안 로컬자체특보를 편성해 부산지역의 호우 피해 위험성을 알렸다. 그리고 24일 새벽 0시 13분부터 10분 동안 로컬자체특보를 다시 한번 방송했고, 전국 단위의 뉴스특보를 24일 새벽 1시부터 25분간 부산 지역의 상황을 집중 방송했다. 아울러, 23일과 24일 사이에 자막 속보 8회, 스크롤 속보 30회를 방송했다"고 전했다. KBS가 설명한 대로 재난방송을 안 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침수 붕괴는 물론 인명피해까지 발생시킨 재난을 다루는 데에는 부족했다는 것이 수신료를 내고 KBS를 본 시청자들이 체감한 바다. 피해 상황의 심각성에 견주어 보도 수준이 재난주관방송사로서의 역할까지는 미치지 못했다는 것이다.
KBS의 해명에는 아쉬운 부분이 많다. 시청자가 느낀 재난 상황에 대한 인지 및 체감 정도와의 거리감이 가장 눈에 띈다. KBS는 재난 보도 상황을 상세히 정리해 알렸다. 그러나 시청자들이 문제를 제기한 '과정에서의 부족함', '보도 정도의 차이'에 대한 입장은 아니었다. 사과나 개선의지 없이 해명으로 가득 찬 입장문에 "이번 부산 지역의 강우량은 기상청의 예측을 초과한 돌발적이고 기록적인 폭우였다"고 돌발 상황임을 강조하는 문구도 넣었다.
지난해 강원도 산불 사고가 발생했을 때 부실한 대응으로 뭇매를 맞았던 KBS는 약 1년 만에 재차 같은 논란의 중심에 섰다. KBS는 강원도 산불 사고 당시 주민 대피령이 내려지는 등 대응 최고 수준인 3단계가 발령됐음에도 특보 체제로 전환하지 않고 예정된 특집 프로그램과 '오늘밤 김제동'을 방송해 시청자들의 빈축을 산 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까지 "재난방송 시스템에 전반적 재검토 필요성이 확인됐다. 방송사, 특히 재난주관방송사가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에 두는 정보 제공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질타했었지만, 재난을 다루는 KBS의 소극적 태도에 시청자들은 다시금 분노했다.
무엇보다 이번 논란이 KBS에 더 치명적인 이유는 수신료 인상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던 상황이었기 때문일 테다. 양승동 KBS 사장은 지난달 1일 수신료 인상 계획을 담은 경영혁신안을 발표하며 "명실상부한 국가기간방송이자 공영방송이 되려면 수신료 비중이 전체 재원의 70%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역시 수신료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현재 KBS가 받는 수신료는 각 가정당 월 2500원으로 지난해 기준 총 6705억 원에 달해 전체 재원 1조4566억 원의 46%를 차지한다. 지난해 759억 원의 사업 손실을 낸 KBS의 경영난을 수신료 인상으로 극복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영국 BBC, 일본 NHK 등에 비하면 KBS의 수신료는 적은 수준이지만, 이를 인상하자는 데에는 부정적 여론이 지배적이다.
양승동 KBS 사장은 경영혁신안을 발표하면서 "코로나19 사태로 재난이 일상화하면서 국가 기간방송으로서 존재 이유와 역할이 더 중요해졌다"며 "강도 높은 구조조정과 임금 동결 등 경영혁신을 통해 국민의 마음을 얻도록 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해당 발언이 무색하게 부산 사태로 재난주관방송사로서의 역량에 대한 불신만 재차 입증한 꼴이 됐다.
시청자들의 반감은 결국 매번 '수신료 받지 마'라는 말로 귀결된다. 수신료 인상을 주장하기에 앞서, 좋든 싫든 공영방송 KBS를 보기 위해 돈을 내고 있는 소비자인 시청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자세를 갖추는 것이 최소한의 예의가 아닐까.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부산에서는 수신료 받아가지 마세요."
최근 KBS 공식홈페이지 시청자권익센터 게시판에는 위와 같은 제목의 청원이 올라왔다. 청원자는 지난달 부산 지역 침수 상황이 발생했을 때 KBS가 재난 관련 보도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것을 지적하며 수신료의 가치를 전혀 못 하는데 왜 수신료를 강제 징수하냐고 되물었다.지난달 23일 오후 부산에서는 시간당 80mm가 넘는 기록적인 폭우가 내렸다. 사망자가 발생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의 집중 호우였지만 재난주관방송사인 KBS는 오후 10시 이후 1TV에서 '다큐 인사이트', '더 라이브'를 예정대로 내보냈다. 11시 40분 'KBS 뉴스라인'에서는 20여 분 동안 부산 지역 폭우 상황이 전해졌으나, 호우가 집중되던 시간인 밤 12시 이후 여전히 특보 없이 음악프로그램인 '올댓뮤직'이 정상 방송됐다. 2TV도 마찬가지로 수목드라마 '출사표'와 예능프로그램 '살림하는 남자들'이 전파를 탔다.
특보가 나온 시간은 '올댓뮤직'이 방송되고 난 뒤 24일 오전 1시경, 약 25분 동안이었다. 폭우로 인한 피해가 점차 커지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재난주관방송사인 KBS가 그대로 정규 방송을 내보냈다는 점은 비판을 피하기 어려웠다. 시청자들은 "호우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지하기 어려울 정도였다"며 거센 지적을 이어갔다. 이에 KBS는 TV 재난방송 현황표까지 공개하며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KBS는 "23일 오전부터 인터넷과 라디오, TV를 통해 선제적, 예방적 정보와 행동 요령을 전하며 경남 지역과 강원 영동 동해안 지역에 내릴 집중 호우의 위험성을 전했다. 이어 KBS재난방송센터는 23일 오전 9시 20분 재난방송 1단계에 해당하는 '하단 스크롤' 자막 방송을 실시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또 "방송 뉴스의 경우 2시, 5시, 7시, 9시, 뉴스라인 등의 메인뉴스를 통해 집중호우를 다뤘고, 9시 뉴스에서는 경남 상황을 톱으로 방송했다. 7시, 9시 뉴스에서는 부산지역의 위험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당시만 해도 기상청 통보문에는 부산이 위험 지역으로 특정돼 있지 않았다. 그럼에도 KBS 재난방송센터는 기상전문기자들의 정밀 분석에 따라 부산을 위험지역으로 지목하고 부산 온천천 CCTV 화면과 일기도, 누적 강우량을 보여주며 경고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국 단위의 정규 뉴스 이외의 지역과 전국 단위의 뉴스특보를 편성해 대응했다. 부산방송총국에서는 23일 16시 45분부터 12분 동안 로컬자체특보를 편성해 부산지역의 호우 피해 위험성을 알렸다. 그리고 24일 새벽 0시 13분부터 10분 동안 로컬자체특보를 다시 한번 방송했고, 전국 단위의 뉴스특보를 24일 새벽 1시부터 25분간 부산 지역의 상황을 집중 방송했다. 아울러, 23일과 24일 사이에 자막 속보 8회, 스크롤 속보 30회를 방송했다"고 전했다. KBS가 설명한 대로 재난방송을 안 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침수 붕괴는 물론 인명피해까지 발생시킨 재난을 다루는 데에는 부족했다는 것이 수신료를 내고 KBS를 본 시청자들이 체감한 바다. 피해 상황의 심각성에 견주어 보도 수준이 재난주관방송사로서의 역할까지는 미치지 못했다는 것이다.
KBS의 해명에는 아쉬운 부분이 많다. 시청자가 느낀 재난 상황에 대한 인지 및 체감 정도와의 거리감이 가장 눈에 띈다. KBS는 재난 보도 상황을 상세히 정리해 알렸다. 그러나 시청자들이 문제를 제기한 '과정에서의 부족함', '보도 정도의 차이'에 대한 입장은 아니었다. 사과나 개선의지 없이 해명으로 가득 찬 입장문에 "이번 부산 지역의 강우량은 기상청의 예측을 초과한 돌발적이고 기록적인 폭우였다"고 돌발 상황임을 강조하는 문구도 넣었다.
지난해 강원도 산불 사고가 발생했을 때 부실한 대응으로 뭇매를 맞았던 KBS는 약 1년 만에 재차 같은 논란의 중심에 섰다. KBS는 강원도 산불 사고 당시 주민 대피령이 내려지는 등 대응 최고 수준인 3단계가 발령됐음에도 특보 체제로 전환하지 않고 예정된 특집 프로그램과 '오늘밤 김제동'을 방송해 시청자들의 빈축을 산 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까지 "재난방송 시스템에 전반적 재검토 필요성이 확인됐다. 방송사, 특히 재난주관방송사가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에 두는 정보 제공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질타했었지만, 재난을 다루는 KBS의 소극적 태도에 시청자들은 다시금 분노했다.
수신료 인상하자면서…시청자 반감은 외면?
수신료를 받는 KBS에게 시청자들의 반응은 곧 거울이다. 시청자들의 지적과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개선하려는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주 단편적으로만 봐도 '공영방송이니까', '수신료를 받으니까'라는 이유가 따라 붙는다. 1년 전 재난방송주관사로서의 역량 강화를 호언했던 KBS의 자신감은 근거 없는 것이었을까. 이번 사례를 통해 재난방송 대응책을 다시금 보강할 필요가 있음을 시청자들은 느끼고 있다.무엇보다 이번 논란이 KBS에 더 치명적인 이유는 수신료 인상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던 상황이었기 때문일 테다. 양승동 KBS 사장은 지난달 1일 수신료 인상 계획을 담은 경영혁신안을 발표하며 "명실상부한 국가기간방송이자 공영방송이 되려면 수신료 비중이 전체 재원의 70%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역시 수신료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현재 KBS가 받는 수신료는 각 가정당 월 2500원으로 지난해 기준 총 6705억 원에 달해 전체 재원 1조4566억 원의 46%를 차지한다. 지난해 759억 원의 사업 손실을 낸 KBS의 경영난을 수신료 인상으로 극복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영국 BBC, 일본 NHK 등에 비하면 KBS의 수신료는 적은 수준이지만, 이를 인상하자는 데에는 부정적 여론이 지배적이다.
양승동 KBS 사장은 경영혁신안을 발표하면서 "코로나19 사태로 재난이 일상화하면서 국가 기간방송으로서 존재 이유와 역할이 더 중요해졌다"며 "강도 높은 구조조정과 임금 동결 등 경영혁신을 통해 국민의 마음을 얻도록 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해당 발언이 무색하게 부산 사태로 재난주관방송사로서의 역량에 대한 불신만 재차 입증한 꼴이 됐다.
시청자들의 반감은 결국 매번 '수신료 받지 마'라는 말로 귀결된다. 수신료 인상을 주장하기에 앞서, 좋든 싫든 공영방송 KBS를 보기 위해 돈을 내고 있는 소비자인 시청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자세를 갖추는 것이 최소한의 예의가 아닐까.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