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물량 확보 어떻게?"…전문가들 머리 맞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헬스케어 미래포럼
앞으로 만들어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31일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코로나19 백신, 글로벌 개발 동향 및 확보전략'을 주제로 헬스케어 미래포럼을 개최하고, 코로나19 백신에 관한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모았다.
정부는 앞서 세계보건기구(WHO)가 2021년 말까지 20억회분의 백신 보급 목표를 제시하면서 국제사회의 백신공급 메커니즘인 '코백스 퍼실리티'에 대한 참여 의사를 밝혔다.
전문가들은 코백스 참여와는 별개로 개별 국가나 기업 간 추가 물량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다양한 제품 가운데 어떤 제품을 선택할 것인지, 국내 백신 개발 지원은 어느 수준으로 할 것인지 등이 중요하다고 했다.
묵현상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장은 "백신 가격은 천차만별일 텐데 우리나라 인구는 5000만명이라 협상력이 애매하다"며 "글로벌 공동 개발에 참여하는 것도 방법인데 그동안 원천기술(개발)에 노력을 들이지 않아 참여가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다양한 백신이 개발 중인 만큼 효과 있는 제품의 물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전략적 노력이 중요하다는 조언도 나왔다.
송만기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차장은 "백신 배분 및 선택은 향후 어려운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며 "3상 결과가 나오기 시작하면 어떤 백신이 좋고, 각 제품의 천차만별 가격을 어떻게 조화롭게 구성할 것이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외에서 개발된 백신의 효능과 안전성이 증명된 제품을 국내 기업이 좀 더 적극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전략도 괜찮다"고 봤다.
백신 접종 대상자의 범위에 관한 논의도 진행됐다.
정희진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국내에서 항체를 가진 사람은 1%도 되지 않는 상황에서 누구에게 먼저 접종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사회적 안전망을 유지하는 분들과 취약계층에 우선순위를 둘 수밖에 없는데 임상 모니터링을 하면서 선택적 접종에 관한 회의를 진행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31일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코로나19 백신, 글로벌 개발 동향 및 확보전략'을 주제로 헬스케어 미래포럼을 개최하고, 코로나19 백신에 관한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모았다.
정부는 앞서 세계보건기구(WHO)가 2021년 말까지 20억회분의 백신 보급 목표를 제시하면서 국제사회의 백신공급 메커니즘인 '코백스 퍼실리티'에 대한 참여 의사를 밝혔다.
전문가들은 코백스 참여와는 별개로 개별 국가나 기업 간 추가 물량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다양한 제품 가운데 어떤 제품을 선택할 것인지, 국내 백신 개발 지원은 어느 수준으로 할 것인지 등이 중요하다고 했다.
묵현상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장은 "백신 가격은 천차만별일 텐데 우리나라 인구는 5000만명이라 협상력이 애매하다"며 "글로벌 공동 개발에 참여하는 것도 방법인데 그동안 원천기술(개발)에 노력을 들이지 않아 참여가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다양한 백신이 개발 중인 만큼 효과 있는 제품의 물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전략적 노력이 중요하다는 조언도 나왔다.
송만기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차장은 "백신 배분 및 선택은 향후 어려운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며 "3상 결과가 나오기 시작하면 어떤 백신이 좋고, 각 제품의 천차만별 가격을 어떻게 조화롭게 구성할 것이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외에서 개발된 백신의 효능과 안전성이 증명된 제품을 국내 기업이 좀 더 적극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전략도 괜찮다"고 봤다.
백신 접종 대상자의 범위에 관한 논의도 진행됐다.
정희진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국내에서 항체를 가진 사람은 1%도 되지 않는 상황에서 누구에게 먼저 접종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사회적 안전망을 유지하는 분들과 취약계층에 우선순위를 둘 수밖에 없는데 임상 모니터링을 하면서 선택적 접종에 관한 회의를 진행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