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낙동강 통합 물관리 협의
김경수 경남지사
"낙동강 본류 外 취수원 발굴
한국판 뉴딜에 포함 방안 마련"
김경수 경남지사는 낙동강 본류 외 새로운 취수원 발굴을 추진하기로 하고 낙동강 수질 개선 사업을 한국판 뉴딜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3일 제시했다. 김 지사는 “불안한 낙동강에 도민의 먹는 물 안전을 맡길 수 없다”며 “낙동강 본류 수질 개선뿐만 아니라 종합적인 물관리 대책을 세워나가고 있는데, 이를 한국판 뉴딜에 포함시켜 제대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취수원 다변화로 동남권 주민의 식수원 불안을 해소하는 한편 낙동강 본류 자체에 대한 수질 개선 대책 마련을 동시에 해결해나가는 투 트랙 전략이다.
남강댐 물 공급과 지리산댐 건설 등 물 관련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경상남도와 갈등을 빚어온 부산시는 인근 지자체에 최대한 협조를 구해 접근한다는 방침이다. 수년간 이어진 경남과 부산의 물 갈등이 ‘낙동강 유역 통합 물관리 방안’ 마련으로 일단락된 만큼 지금의 논의 구조 안에서 해법을 찾겠다는 전략이다. 부산시는 하루 총 소요량 95만㎥ 중 47만㎥는 황강 및 창녕 강변여과수로, 나머지 48만㎥는 낙동강 초고도 정수처리를 통해 공급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는 낙동강 상류 취수원 확보와 관련, 취수원 이전이 아니라 다변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정부 용역에 따라 시는 낙동강 물의 합리적 배분을 위해 하루 소요량 57만㎥ 가운데 20만~30만㎥는 취수원 공동활용 지역에서 확보하고, 나머지는 문산·매곡취수장에서 시민에게 공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구미 해평취수장 또는 안동 임하댐 등에서 수돗물 원수를 가져오면서 기존 대구 문산·매곡 취수장에 더 강화된 고도 정수처리 공법을 도입해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
낙동강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인구는 경남, 부산, 대구, 경북 등 766만 명에 이른다. 낙동강 물 문제는 1991년 경북 구미산단의 한 공장에서 독성물질인 페놀이 낙동강으로 유출되면서 촉발됐다. 이 사고를 계기로 정부는 영남지역에 맑은 물을 공급할 방안을 마련하는 데 나섰고 식수 공급 방식을 둘러싼 지역 간 갈등도 심해졌다.
환경부는 2019년 3월 ‘낙동강 유역 통합 물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용역’을 시작했다. 그해 4월 대구·경북·울산, 8월 경남·부산과 ‘낙동강 물 문제 해소 및 통합 물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논의를 이어오고 있다. 영남권 지자체는 5일 열리는 ‘낙동강 유역 통합 물관리 방안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낙동강 물 문제에 관해 협의한다.
창원=김해연/부산=김태현/대구=오경묵 기자 ha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