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시중은행들의 전세자금대출 금액이 1년 전보다 21조원 증가했다. 증가 규모로는 역대 최대치다. 올 들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크게 치솟은 데다 시중 금리가 하락하자 임차인들이 대거 은행에서 전세 자금을 조달했다.

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신한·우리·국민·하나·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7월 말 기준 전세자금대출(은행계정) 잔액은 94조556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 같은달과 비교하면 20조7927억원이 증가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5대 은행의 전세대출은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2~3년간 집값이 계속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덩달아 전셋값을 끌어올린 영향이다. 2018년엔 전년 대비 18조6493억원이 늘었다.

그러다가 지난해에는 17조2553억원 늘어나며 다소 주춤하는 듯 했다. 2018년 9·13 대책을 포함한 전세대출 규제 방안이 나온 이후 전셋값 상승세가 둔화된 영향이다.

하지만 올 들어 집값이 큰 폭으로 오르자 전셋값은 다시 뛰기 시작했다. 전세대출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5월엔 19조9989억원, 6월엔 20조3669억원이 늘었고 7월에는 21조원에 육박하게 됐다.

은행권 관계자들은 7월 전세 거래가 큰 폭으로 줄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같은 전세대출 증가세는 이례적이라고 보고 있다. 서울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 계약 건수는 6304건에 그쳤다. 2011년 이후 처음으로 6000건대에 머물렀다. 올해 가장 많았던 2월의 1만3661건과 비교하면 46% 수준이다.

그럼에도 전세대출이 급증한 것은 그만큼 전셋값 상승세가 두드러졌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일각에선 주택임대차보호 3법 가운데 하나인 '전월세 상한제'가 시행된 만큼 전세대출 증가세도 잦아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전월세 상한제가 전셋값 상승률을 5%로 제한하고 있어서다.

하지만 전세대출 증가세가 당분간 꺽이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적지 않다. 임대차 3법이 신규 계약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신규 전셋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시중은행 한 임원은 "전세 매물 감소, 전월세 상한제 시행 영향으로 전세대출 상승세가 꺾일 수도 있다"면서도 "하지만 신규 계약 전셋값이 급등할 경우 전세대출 잔액은 올해 100조원을 넘어설 것"이라고 말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