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확산으로 소아·청소년 '정신건강'도 위협받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신질환 소아청소년 65%, 호전도 악화
신체활동 및 내원율 감소 등이 원인
신체활동 및 내원율 감소 등이 원인

4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김붕년 소아정신과 교수는 최근 열린 국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IACAPAP) 국제학회 기조연설에서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의료진은 정신질환의 심각도와 호전도를 나눠 관찰했으며, 그 결과 약 65%의 환자가 약물치료 등 기존치료의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사태 이후 현저하게 호전도가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코로나로 인한 소아청소년의 정신건강 위협 증가 요인으로 △전반적 신체활동 감소 △게임 이용시간 증가 △수면시간 감소에 따른 기분저하 및 분노와 긴장감 증가 △감염에 대한 공포 및 가짜 뉴스로 인한 불안 증가 △친구 및 교사와의 교류 및 놀이 활동 감소로 인한 사회적 위축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가족 갈등 및 학대 위험 증가 등을 꼽았다.
김 교수는 "소아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는 지금도 문제지만 코로나19가 끝난 후 닥칠 경제 위기로 가족 기능의 위기와 맞물려 더욱 크게 증폭될 수 있다"면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기관과 정신건강 전문가 등이 협업하는 집중적 대비체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