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음료'를 많이 먹으면 심혈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제로 음료에 설탕 대신 들어가는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aspartame)'이 인슐린 수치를 높여 이 같은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게 연구의 주요 골자다.20일(현지시간) 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이하이 차오(Yihai Cao) 교수팀은 생쥐에게 아스파탐이 함유된 먹이를 먹인 결과, 인슐린 수치가 급격히 높아져 동맥에 더 많은 지방 플라크가 생기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연구팀은 12주 동안 생쥐에게 매일 아스파탐 0.15%가 들어 있는 먹이를 먹인 뒤 지방 플라크 형성과 인슐린 및 염증 인자 수치 등의 변화를 살펴봤다.그 결과, 아스파탐이 함유된 먹이를 섭취한 생쥐는 그렇지 않은 쥐에 비해 더 크고 많은 지방 플라크가 생겼고, 염증 수치도 높아졌다. 인슐린 수치도 급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콜레스테롤, 지방 물질, 응고 단백질 등으로 이루어진 지방 플라크가 동맥에 쌓이면 혈관이 좁아져 경화가 일어나 결국 심혈관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연구팀은 "실험에서 생쥐가 먹은 아스파탐 양을 사람 기준으로 환산하면, 성인이 매일 제로 음료 3캔을 마시는 것과 비슷하다"면서 "설탕보다 200배 더 단맛을 내는 아스파탐이 단맛 감지 수용체를 속이는 방식으로 더 많은 인슐린을 분비하게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이어 "아스파탐이 동물의 인슐린 수치를 증가하게 만들어 동맥경화를 유발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염증 수치를 높여 심장마비와 뇌졸중 등 위험을 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차오 교수팀의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과학 학술지인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
유대교 경전 탈무드는 ‘영혼의 휴식이 필요한 사람이 잠을 청한다’는 격언을 남겼다.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도 휴식이 절실했는지 2차 세계대전 중 낮잠을 거의 빠뜨리지 않았다. 스페인 소설가 미겔 데 세르반테스는 소설 <돈키호테>에서 “잠은 깨어 있는 자들의 고통을 덜어준다”고 설파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잠은 인간 생존의 필수 요소다. 낮 동안 지친 육체와 영혼이 밤새 충전하지 않으면 살아갈 에너지를 얻을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침대는 단순한 가구가 아니라 고단한 삶을 위로해 주는 쉼터다.온종일 집과 사무실에서 내 몸을 맡겨두는 의자는 어떤가. 누구보다 내 허리를 걱정하며 바른 자세로 이끌어 주는 안내자다. 예술 작품에선 작가와 혼연일체가 된 상징물로 등장한다. 빈센트 반 고흐가 생을 마감한 라부여인숙 5번 방의 황색 나무 의자가 대표적 예다. 강렬한 색채와 거친 질감으로 그린 의자는 당시 고흐의 불안한 정서를 담고 있다. 가난한 예술가의 괴로움, 존재와 삶에 대한 고뇌, 고독한 5번 방의 공기까지 의자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 침대에 누워 바라본 5번 방의 유일한 가구, 의자는 고흐 자신이었다.의자가 자기연민의 산물이라면 침대는 사랑의 창조물이라고 불러야 할 듯하다. 아픈 아내의 욕창을 낫게 하려는 남편의 지극한 정성이 명품 침대의 출발점이었다. 내가 뒤척여도 아내가 불편하지 않게 하겠다는 사랑과 배려심이 침대 개발의 원동력이었다. 세계 최초의 포켓스프링이 그 사랑의 힘을 자양분 삼아 탄생했다. 스웨덴의 한 아버지는 세 자녀를 먹여 살리겠다는 일념으로 말안장 기술을 배워 훗날 스웨덴어로 ‘말’을 뜻하는 명품 침대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