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대 항공사인 ANA가 5000억엔(약 5조5441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하이브리드채)을 발행해 자본 확충에 나선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해 자금을 비축해 두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ANA가 일본 정책투자은행 및 미쓰비시UFJ, 미쓰이스미토모, 미즈호 등 3대 메가뱅크와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위한 협의를 시작했다고 14일 보도했다. 조달금액은 4000억~5000억엔으로 예상된다.

부채와 자본의 중간 단계 자금 조달 수단인 신종자본증권은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된다. 신종자본증권으로 자본을 늘리면 신용등급 하락을 막을 수 있고 은행에서 추가 대출을 받기도 쉬워진다.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정부 돈을 받더라도 경영에 관여할 수 있는 의결권이 없기 때문에 기업이 선호한다.

차입금을 늘리면서 코로나19의 충격을 버텨온 일본 항공업계에서 자기자본 확충에 나선 것은 ANA가 처음이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여객 수요도 좀처럼 회복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ANA는 은행 신용한도(크레디트라인) 보강 등을 통해 6월까지 1조엔을 확보했다.

하지만 항공기 리스료와 차입금 이자 지급 등으로 매달 평균 600억엔의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어 버틸 수 있는 시간은 1년 정도로 평가된다. ANA는 지난 2분기에 분기 사상 최악인 1088억엔의 적자를 냈다. 여객 수요가 회복되지 않으면 재무상황이 악화해 신용등급이 하락하고, 회사채 발행 및 은행 차입 비용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신종자본증권 발행으로 자본을 미리 확충해 재무상황이 악화하는 것에 대비하려는 전략이라고 니혼게이자이는 분석했다.

코로나19 충격에 대비해 주거래은행에서 5000억엔을 확보한 일본항공(JAL)도 신종자본증권 발행 초읽기에 들어갔다. 아카사카 유지 JAL 사장은 지난달 초 “확보한 자금으로 6개월에서 최대 1년까지 버틸 수 있다”면서도 “5000억엔으로도 부족하면 더 이상 채무를 늘리기는 어렵기 때문에 신종자본증권 발행 등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정부 자금이 흘러 들어가면 장기적으로 정부가 경영에 간섭할 가능성이 생긴다. ANA와 JAL도 경영 간섭을 우려해 정부로부터 자금을 조달받는 것을 극도로 조심스러워하고 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