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루작 '유럽식 온실' 예천 명소로 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북에 귀농한 전문직 청년들
자동 온실서 특수작물 재배
식물 놀이터·체험 공간 꾸며
SNS 입소문에 전국서 찾아와
경북도 청년유입정책 3년 결실
자동 온실서 특수작물 재배
식물 놀이터·체험 공간 꾸며
SNS 입소문에 전국서 찾아와
경북도 청년유입정책 3년 결실
지난 5월 경북 예천군 지보면에는 마치 유럽 정원에 온실하우스를 옮겨놓은 듯한 이색공간 ‘그루작’이 들어섰다. 2000㎡ 공간에 전자동 윈도가 설치된 온실하우스 2개 동과 아담하게 지어진 목조 농막에서는 원예특수작물 재배뿐 아니라 가드닝클래스와 어린이 식물놀이터 등 다양한 체험과 교육이 이뤄진다. 플로리스트 경력 13년인 강영아 대표가 예천에 귀농해 만든 식물복합공간이다.
강 대표는 지난해 6월 그루작이라는 기업을 창업하고 ‘킨포크(자연 친화적이고 건강한 생활양식을 추구하는 사회현상) 라이프 온실하우스’팀으로 경상북도의 도시청년시골파견제에 지원했다. 이 제도는 경북의 대표적 청년유입정책이다. 이 밖에도 만 39세 이하의 청년부부가 창업하는 청년커플지원사업, 청년뉴딜일자리사업 등이 있다. 경상북도는 도입 3년째를 맞은 이들 청년유입정책으로 총 179팀, 287명이 창업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그루작에는 SNS와 입소문을 타고 전국의 체험객들과 함께 수백 명의 농장주가 다녀갔다. 새로운 개념의 온실하우스 디자인과 식물복합공간을 벤치마킹하기 위해서다.
그루작의 마케팅 대상은 경북에 한정돼 있지 않다. 상주와 경주의 조경프로젝트, 서울 경기권의 플랜테리어(플랜트+인테리어) 수주 등 전국이 무대다.
강 대표는 “농촌도 젊어지고 아름다워져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 온실하우스에 어울리는 풍광을 찾아 전 재산 수억원을 들여 멋진 농장을 꾸민 이유다.
강 대표는 “농촌에 오면 다 농부가 돼야 한다는 데는 반대한다”고 했다. 강 대표와 함께 창업에 동참한 정의지 실장 등 3명의 동료도 모두 업무지원서비스와 온실관리분야 전문가다. 강 대표는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2억원 정도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한다”며 “식물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기반으로 농촌의 여유롭고 즐거운 일상, 이웃과의 소통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박시균 경상북도 청년정책관은 “청년 유입정책을 시작한 지 3년 만에 전문직 청년들의 유입이 늘고있다”며 “전문직 청년의 도전과 실험 정신이 전통적인 농촌과 농촌 비즈니스의 풍경을 바꾸고 있다”고 했다
강 대표와 정 실장은 그루작을 팜파티 디렉터, 팜마켓 머천다이저(MD), 식물 큐레이터, 식물 에듀케이터 등 청년들이 전문성을 발휘하는 직장으로 키워 고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 실장은 “주로 수도권 골목상권에 적용된 로컬 브랜딩사업을 농촌에 적용하고 팜투테이블(수확해서 바로 음식으로 만드는 레스토랑) 등 새로운 비즈니스를 만들어 농촌을 변화시켜 보겠다”고 말했다.
예천=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강 대표는 지난해 6월 그루작이라는 기업을 창업하고 ‘킨포크(자연 친화적이고 건강한 생활양식을 추구하는 사회현상) 라이프 온실하우스’팀으로 경상북도의 도시청년시골파견제에 지원했다. 이 제도는 경북의 대표적 청년유입정책이다. 이 밖에도 만 39세 이하의 청년부부가 창업하는 청년커플지원사업, 청년뉴딜일자리사업 등이 있다. 경상북도는 도입 3년째를 맞은 이들 청년유입정책으로 총 179팀, 287명이 창업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그루작에는 SNS와 입소문을 타고 전국의 체험객들과 함께 수백 명의 농장주가 다녀갔다. 새로운 개념의 온실하우스 디자인과 식물복합공간을 벤치마킹하기 위해서다.
그루작의 마케팅 대상은 경북에 한정돼 있지 않다. 상주와 경주의 조경프로젝트, 서울 경기권의 플랜테리어(플랜트+인테리어) 수주 등 전국이 무대다.
강 대표는 “농촌도 젊어지고 아름다워져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 온실하우스에 어울리는 풍광을 찾아 전 재산 수억원을 들여 멋진 농장을 꾸민 이유다.
강 대표는 “농촌에 오면 다 농부가 돼야 한다는 데는 반대한다”고 했다. 강 대표와 함께 창업에 동참한 정의지 실장 등 3명의 동료도 모두 업무지원서비스와 온실관리분야 전문가다. 강 대표는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2억원 정도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한다”며 “식물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기반으로 농촌의 여유롭고 즐거운 일상, 이웃과의 소통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박시균 경상북도 청년정책관은 “청년 유입정책을 시작한 지 3년 만에 전문직 청년들의 유입이 늘고있다”며 “전문직 청년의 도전과 실험 정신이 전통적인 농촌과 농촌 비즈니스의 풍경을 바꾸고 있다”고 했다
강 대표와 정 실장은 그루작을 팜파티 디렉터, 팜마켓 머천다이저(MD), 식물 큐레이터, 식물 에듀케이터 등 청년들이 전문성을 발휘하는 직장으로 키워 고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 실장은 “주로 수도권 골목상권에 적용된 로컬 브랜딩사업을 농촌에 적용하고 팜투테이블(수확해서 바로 음식으로 만드는 레스토랑) 등 새로운 비즈니스를 만들어 농촌을 변화시켜 보겠다”고 말했다.
예천=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