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알뜰폰(MVNO) 시장에 진출하려는 KT스카이라이프의 행보에 난기류가 감돌고 있다. KT 계열사인 스카이라이프가 진출하는데 대한 기존 사업자의 거부감이 적지 않은데다 정부도 신중한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위성방송과 알뜰폰을 묶는 결합상품 모델 외에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사업모델을 내놓지 않으면 사업진척이 속도를 내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알뜰폰 업계 "스카이라이프 진출 반대"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업계에 따르면 KT스카이라이프는 정부에 알뜰폰 사업 진출을 위한 의사를 밝히고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오는 9월 안에 협의를 마무리하고 사업을 개시하는 것이 목표다.

KT스카이라이프가 알뜰폰 사업을 노리는 가장 큰 목적은 '결합상품'을 통한 고객 유입이다. 위성방송 가입자가 갈수록 떨어지는 상황에서 알뜰폰과의 결합상품으로 할인혜택을 키우고 고객을 묶어두겠다는 계산이다.

하지만 알뜰폰 업계가 강력 반발하면서 제동이 걸렸다. 중소 알뜰폰 업체를 대변하는 알뜰통신사업자협회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KT스카이라이프의 알뜰폰 시장 진출을 반대하는 입장을 전달했다.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KT스카이라이프가 구상하는 결합상품 모델이 알뜰폰 사업자와의 상생보다 중소 알뜰폰 회사 가입자 빼앗기로 흐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스카이라이프가 통신사 KT의 자회사라는 점도 기존 사업자가 우려하는 대목이다. 지난해 LG유플러스가 CJ헬로모바일을 인수하면서 1개 이통사가 1개 알뜰폰만 갖도록 하던 '1사 1MVNO' 원칙은 백지화된 상태다. 여기에 KT 계열의 알뜰폰 사업자가 늘어나면 통신3사의 영향력이 더 커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알뜰폰 사업자는 총 54곳으로 통신3사 계열사인 6곳이 알뜰폰 가입자의 37.4%, 전체매출의 65.1%를 점유하고 있다. 스카이라이프가 진출할 경우 KT는 엠모바일 외에 알뜰폰 계열사를 하나 더 추가하게 된다.

정부 "알뜰폰 시장 기여 방안 가져와야"

기존 사업자들이 강력 반발하고 나서면서 정부도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알뜰폰 시장이 통신3사 계열사 중심으로 재편되면 콘텐츠와 서비스로 고가요금제를 받는 통신3사의 독과점 구조를 깨겠다는 알뜰폰 사업의 취지에도 충돌하기 때문이다. 김남철 과기정통부 통신경쟁정책과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알뜰폰 시장에 또 하나의 대기업 계열사가 들어오면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알뜰폰 사업은 정부 허가가 필요없는 등록제다. 정부로서는 KT스카이라이프가 알뜰폰 사업을 시작하고자 한다면 무한정 막을 수만은 없다는 얘기다. 다만 대기업 계열사에 대해서는 등록조건을 부과할 수 있다. 정부는 이를 통해 기존 사업자의 우려를 최대한 불식시키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CJ헬로비전을 인수한 LG유플러스는 주요 5G·LTE 요금제에 대해 도매 제공, 5G 도매대가 3년간 인하 등을 등록조건으로 부과받았다.

정부 관계자는 "KT와 스카이라이프 측과 알뜰폰 업계의 우려사항에 대한 대책을 조율중이며 추가로 보완방안을 받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KT측은 스카이라이프와 KT망을 이용하는 다른 사업자간에 차별적인 도매계약이 이루어져서는 안된다는데에 공감대가 이루어진 상태다. 정부는 여기에 KT와 망 계약을 맺은 알뜰폰사업자들을 더 배려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추가적으로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KT스카이라이프에 대해서도 단순히 결합상품 모델 외에 추가적인 사업계획을 제시하라고 요청한 상태다. 정부관계자는 "결합상품을 운영하더라도 기존 알뜰폰 사업자에 불리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대책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와 업계에서는 KT스카이라이프가 목표시한으로 잡은 9월을 맞추려면 보다 획기적인 방은을 내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KT스카이라이프 관계자는 "기존 사업자들의 우려에 해소할 수 있도록 정부와 더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