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최대 敵은 조급증…손절매는 하지 마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et's Study 주식투자전략 (5)
손절매는 투자 필살기가 될 수 없다
![영화 속 안시성 성주는 “우리는 물러서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우리는 무릎 꿇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우리는 항복이라는 걸 배우지 못했다!”라는 대사로 결전 의지를 다진다. 주식투자도 절대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싸워 이기는 거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008/AA.23531842.1.jpg)
손실은 추가 매수 기회 역발상
가치투자자라면 미래 PER(시가총액÷당기순이익), 시가배당률(배당금÷현재 주가)이 저평가 판단 요소다. PER은 몇 년간 당기순이익으로 시가총액(주식 수×주가)만큼의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가를 알 수 있는 지표다. PER이 낮을수록 투자금 회수기간이 짧으니 좋다. 시가배당률은 은행 이자율처럼 주식투자로 받을 배당수익률이다. 높을수록 배당을 많이 받으니 좋다.PER과 시가배당률 기준으로 투자 종목을 선택했다면 손실은 오히려 투자 기회다. 손실에도 불안감이 아니라 신이 준 추가 매수 기회로 삼는 역발상이 가능하다. 시가배당률은 올라가고, PER은 내려가니 매력적인 추가 투자 기회다. 손절매가 없으니 마음이 조급하지도 않다. 주식투자에서 최대의 적은 불안감과 조급함이다. 이 두 가지 감정만 조절해도 큰 실패는 없다. 그런 의미에서 손실을 추가 매수 기회로 삼는 역발상 투자전략은 매력적이다. 시장 급락도 매력적인 추가 매수 기회다. 개별 기업 악재가 아니라 시장 전체 급락이기에 위기가 지나면 시장은 회복할 것이다. 2018년 미·중 무역갈등, 올해 코로나19 사태로 급락한 코스피지수는 몇 개월 지나지 않아 원래대로 돌아왔다. 서킷브레이커를 인생역전 로또 기회라고 생각하는 역발상이 수익을 부른다.
처음부터 이기는 싸움만 하자
손절매가 없기에 기업을 고르는 과정이 매우 깐깐하다. 합리적 투자 이유를 근거로 나를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처음부터 이길 싸움에만 뛰어드는 영리함이다. 악재는 피하고 호재가 많은 기업으로 접근한다. 초보 투자자라서 종목 선정에 어려움이 있다면 (1)당기순손실 기업을 피하고 실적이 증가하는 기업 (2)외국인과 기관투자가 순매수 종목 (3)고배당주를 우선 선택하자. 실적 개선은 돈을 더 많이 버니 지금보다 비싼 몸값이 되는 건 당연하다. 실적 개선 결과 당기순이익과 배당 증가, 부채비율(부채 의존도)과 당좌비율(현금성자산 보유비율) 등 재무비율도 좋아진다. 외국인과 기관 순매수 종목(외국인과 기관 동시에 순매수 또는 지속적인 순매수, 중소형주면서 순매수 종목 등)은 주된 관심 대상이다. 고배당주는 주가 상승과 배당 두 마리 토끼를 노릴 수 있다. 실적 개선 저평가 기업의 주가는 지루하지만 꾸준하게 우상향한다. 그런 기업을 골라야만 투자 이후 조급함과 불안감이 없다.영화 ‘안시성’은 당 태종의 수십만 대군에 맞서 싸운 안시성 사람들 이야기다. 영화 속 안시성 성주는 “우리는 물러서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우리는 무릎 꿇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우리는 항복이라는 걸 배우지 못했다!”라는 대사로 결전 의지를 다진다. 주식투자도 좋은 기업을 골랐다면 손절매는 없다. 절대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싸워 이기는 거다.
기업가치가 흔들리면 미련 없이 매도
![주식투자 최대 敵은 조급증…손절매는 하지 마라](https://img.hankyung.com/photo/202008/AA.23531624.1.jpg)
박민수 < 칼럼니스트(필명 샌드타이거샤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