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5대 은행의 가계·기업 대출 연체율이 전달 보다 일제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폭이 크지는 않지만 긴장감은 고조되고 있다. 대출 만기·이자 연장 조치가 이어지면서 잠재적인 부실이 아직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건전성 관리가 은행들의 급선무로 떠오르고 있다는 분석이다.

5대 은행 연체율 일제히 꿈틀

23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 국민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은행의 7월말 전체 대출 연체율은 0.23~0.36%로 집계됐다. 지난 6월말(0.21~0.33%) 에 비해 전반적으로 소폭 올랐다.
기업 대출의 상승세도 눈에 띄었다. 같은 기간 5대은행 기업 대출 연체율은 0.18~0.38%에서 0.2~0.48%로 올랐다. 5대 은행 중 두 곳은 올 들어 처음으로 0.4% 이상을 기록했다. A은행은 2018년 11월 이후 내부 기준 가장 높은 연체율(0.4%)을 기록했다.

가계 대출도 지난달말 0.22~0.28%를 기록했다. 6월말(0.13~0.29%)과 상단(최고 연체율)은 비슷했지만 하단(최저 연체율)이 크게 상승했다. 올해 내내 0.1%대로 가계 연체율을 관리해 온 B은행은 첫 0.2%대 연체율을 기록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분기말에 부실채권을 매각·상각하기 때문에 6월에는 연체율이 보통 전달 보다 낮아진다”며 “소폭 오른 것만으로 연체가 급증했다고 볼 수는 없지만 대외 환경을 고려하면 걱정스러운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자 유예 조치 풀리면 어쩌나

은행권의 우려가 커지는 것은 아직 부실이 본격적으로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코로나19 피해를 지원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대출 만기 연장 및 이자 유예 조치를 해 오고 있다. 5대 은행이 2월 이후 이달 중순까지 만기·이자 납부를 미뤄준 대출 규모는 약 40조원에 달한다.

5대 은행의 ‘코로나19 관련 여신 실적 자료’를 보면 만기 연장 대출(재약정 포함) 잔액이 35조 792억원, 기업 분할 납부 유예액과 이자 유예 금액이 각각 4조280억원, 308억원이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출 규모가 급증해 분모가 커진 상황이어서 당분간은 오히려 연체율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며 “코로나 사태로 인한 부실이 수면위로 드러나기 시작하면 연체율이 급등할 우려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은행들은 하반기 건전성 관리에 집중할 전망이다. 가계·기업 대출 차주별로 부실 위험을 재점검하고 상품별 리스크를 평가하는 등 조치도 이어지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아직까지 금융 지원을 필요로 하는 곳이 많아 무작정 대출을 줄이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은행별로 업종·상품별로 금리를 조정하거나 한도를 내리는 식으로 대출 속도 조절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금융당국은 코로나19 장기화를 고려해 대출 만기·이자 유예 조치를 한 차례 더 연장하는 방안을 사실상 확정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은 물론 2금융권에서도 금융위가 내놓은 대출 만기 추가 연장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이달 말쯤 공식적인 발표가 있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또 내달 말까지인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 규제 완화 조치도 연장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LCR는 향후 30일간 예상되는 순 현금 유출액 대비 고(高)유동성 자산의 비율이다. 금융위는 은행권의 금융 지원 여력을 높이기 위해 LCR 하한을 기존 100% 이상에서 85% 이상으로 한시적으로 낮춰 줬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