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더미에 깔린 선진국…2차대전 후 '최악 부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부양 위한 재정지출 폭증
지난달 부채비율 GDP의 128%
코로나 장기화로 회복 쉽지 않아
신흥국 부채비율도 62.8% 최고
지난달 부채비율 GDP의 128%
코로나 장기화로 회복 쉽지 않아
신흥국 부채비율도 62.8% 최고
올 들어 선진국의 부채가 크게 불어나 2차 세계대전 직후보다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극복을 위한 경기부양책으로 재정 지출이 대폭 증가한 탓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인용해 지난달 세계 국내총생산(GDP) 대비 선진국의 부채 비율이 128.2%까지 치솟았다고 보도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인 1946년에 세운 기록(124.1%)을 갈아치웠다. IMF는 내년에도 이 비율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IMF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등 39개국을 선진국으로 분류하고 있다.
선진국들은 최근 코로나19와의 전쟁에 엄청난 돈을 쏟아붓고 있다.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 재임 시절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을 지낸 글렌 허바드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 명예학장은 “우리는 바이러스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고, 재정 지출은 큰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일례로 코로나19 경기 부양책 때문에 미국은 2020회계연도(2019년 10월~2020년 9월) 연방적자를 2차 세계대전 당시보다 많은 3조7000억달러로 예상하고 있다.
국가 부채가 줄어드는 속도는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비해 턱없이 느릴 전망이다. 세계대전이 끝나고 10여 년 뒤인 1950년대 후반 선진국들의 부채 비율은 50% 미만으로 떨어졌다. 미국 경제가 연 4%, 독일과 일본이 연 8%가량 성장하는 등 전후 경제 성장 덕분이었다. 그러나 최근 주요 선진국의 연평균 GDP 증가율은 1~2% 남짓이다. 베이비붐으로 젊은 인구가 늘었던 1950년대와 달리 최근 선진국에서는 저출산으로 노동력이 감소하고 있다.
세계대전 뒤에는 바로 군비를 축소할 수 있었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는 지금은 경기 부양책을 언제 중단할 수 있을지 가늠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세계대전 뒤에는 인플레이션으로 국가 부채가 줄어드는 효과도 있었지만, 지금은 대규모 경기 부양책에도 인플레이션이 본격화하지 않았다.
선진국의 막대한 국가 부채가 ‘뉴노멀(새로운 표준)’이 돼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초저금리 시대라 이자 부담이 덜하기 때문이다.
부채 증가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신흥국도 마찬가지다. 전 세계 GDP 대비 신흥국 부채 비율은 최근 62.8%까지 올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946년 46.9%였던 신흥국 부채 비율은 1989년 56.1%를 찍었다가 이후 하락세를 보였지만 올 들어 코로나19 여파로 다시 상승했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인용해 지난달 세계 국내총생산(GDP) 대비 선진국의 부채 비율이 128.2%까지 치솟았다고 보도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인 1946년에 세운 기록(124.1%)을 갈아치웠다. IMF는 내년에도 이 비율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IMF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등 39개국을 선진국으로 분류하고 있다.
선진국들은 최근 코로나19와의 전쟁에 엄청난 돈을 쏟아붓고 있다.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 재임 시절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을 지낸 글렌 허바드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 명예학장은 “우리는 바이러스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고, 재정 지출은 큰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일례로 코로나19 경기 부양책 때문에 미국은 2020회계연도(2019년 10월~2020년 9월) 연방적자를 2차 세계대전 당시보다 많은 3조7000억달러로 예상하고 있다.
국가 부채가 줄어드는 속도는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비해 턱없이 느릴 전망이다. 세계대전이 끝나고 10여 년 뒤인 1950년대 후반 선진국들의 부채 비율은 50% 미만으로 떨어졌다. 미국 경제가 연 4%, 독일과 일본이 연 8%가량 성장하는 등 전후 경제 성장 덕분이었다. 그러나 최근 주요 선진국의 연평균 GDP 증가율은 1~2% 남짓이다. 베이비붐으로 젊은 인구가 늘었던 1950년대와 달리 최근 선진국에서는 저출산으로 노동력이 감소하고 있다.
세계대전 뒤에는 바로 군비를 축소할 수 있었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는 지금은 경기 부양책을 언제 중단할 수 있을지 가늠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세계대전 뒤에는 인플레이션으로 국가 부채가 줄어드는 효과도 있었지만, 지금은 대규모 경기 부양책에도 인플레이션이 본격화하지 않았다.
선진국의 막대한 국가 부채가 ‘뉴노멀(새로운 표준)’이 돼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초저금리 시대라 이자 부담이 덜하기 때문이다.
부채 증가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신흥국도 마찬가지다. 전 세계 GDP 대비 신흥국 부채 비율은 최근 62.8%까지 올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946년 46.9%였던 신흥국 부채 비율은 1989년 56.1%를 찍었다가 이후 하락세를 보였지만 올 들어 코로나19 여파로 다시 상승했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