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은 지난 26일 국회 보건복지위 전체회의에서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을 향해 "시도지사가 학생 선발 추천권을 가지고 있는가"라고 질타했다.
김강립 차관은 이에 "사실이 아니다. (시민단체의 선발 추천도) 그럴 수 없다"며 "오인되게 한 점에 송구하다. 공정성을 최우선 가치로 납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선발하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김성주 의원이 "복지부가 카드뉴스로 해명했는데 제가 봐도 내용이 도대체 이해가 안 된다. 복지부가 원인 제공한 것 아닌가"라며 "제가 발의한 법안에도 학생 선발 내용은 없다. 공청회 한번 한 적 없는 내용이 복지부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느냐"라고 지적했다.
김강립 차관은 "초기 해명 과정에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혼란을 드린 부분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설명 자체가 적절하지 못했던 것 같다"고 인정했다.

이에 복지부는 전문가·시민단체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시도추천위원회에서 학생을 추천한다는 해명을 내놨다가 더 큰 비판을 받았다.
여권 인사들 역시 이에 비판을 쏟아냈다. 민주당 당권 레이스에 뛰어든 이낙연 의원은 같은 날 "복지부가 거론한 ‘공공의대 시도 추천위원회’가 쓸데없는 오해를 불렀다"고 했다.
조준혁 한경닷컴 기자 pressc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