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 논문 캡처]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 논문 캡처]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가 확산하는 상황에서 통상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으로 여겨지는 2m 거리가 불충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흡기 비말이 최대 8m까지 확산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었다.

영국 옥스퍼드대 니콜라스 존스 박사팀은 최근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 기고한 논문에서 코로나19 감염을 줄이기 위해 각국이 활용하는 물리적 거리두기의 기준인 1~2m는 시대에 뒤처진 기준이라고 꼬집었다.

말하기, 기침, 재채기 등으로 비말이 어떻게 내뿜어지는지에 관한 연구는 19세기부터 진행됐다. 1897년 독일 생물학자 칼 플뤼게는 눈에 보이는 비말을 함유한 병원균 샘플의 거리를 토대로 안전거리 1~2m를 제시한 바 있다.

최근 연구를 보면 10건 중 8건에서는 수평투영법 등을 활용해 분석했을 때 60㎛(100만분의 1m) 이상 비말이 2m 이상 확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연구에서는 확산한 비말이 6~8m 떨어진 곳에서도 감지됐다. 이는 코로나19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농축된 형태로 1~2m 이상 확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SARS-CoV-1)이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MERS-CoV)의 경우에도 바이러스가 2m 이상 확산했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숨 내쉬기, 노래 부르기, 기침, 재채기는 호흡기 비말을 포함한 따듯하고 촉촉하고 고운동량 가스구름을 형성해 보통의 공기 순환보다 빠르게 움직이고 농축된 채로 머물러, 몇 초 만에 7~8m 이상 확산한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 논문 캡처]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 논문 캡처]
이같은 주장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4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질병전파유체역학실험실의 리디아 부루이바 교수 역시 국제학술지 '미국의학협회저널'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배출된 비말(침방울)이 최대 8.2미터까지 날아간다는 자신의 실험 결과를 공개한 바 있다.

리디아 교수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경우 입 안에서 튀어나온 비말 입자가 날아가는 속도는 초당 10~30미터(시속 36~110km), 날아가는 거리는 최대 7~8미터에 이른다. 침과 점액이 뒤섞여 있는 그 비말덩어리에는 아주 다양한 크기의 입자들이 있어 팔로 입을 가려봤자 일부만 막을 수 있다고 그는 강조했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