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홀로 가구' 30% 첫 돌파…인구 증가율은 세종시 1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통계청, 2019년 인구주택 조사

통계청은 28일 이런 내용의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작년 11월 1일을 기준으로 14개 기관과 400여 개 대학의 주민등록부 및 학적부 등 행정자료 25종을 집계한 결과다.
국내 총가구는 2089만 가구로 집계됐다. 이 중 수도권 가구는 1029만 가구로 49.3%를 차지했다. 총가구에서 외국인 가구와 기숙사·요양원 같은 집단가구 등을 제외한 일반 가구 기준으로 1인 가구는 30.2%를 차지해 사상 처음으로 30%대를 기록했다. 이어 2인 가구(27.8%), 3인 가구(20.7%), 4인 가구(16.2%), 5인 이상 가구(5.0%) 순이었다. 1인 가구는 20대 가구가 2018년 102만 가구에서 작년 112만 가구로 가장 많이 늘었다.
작년 국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775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5.5%를 차지했다. 고령인구 비중이 15%를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65세 이상 비중 첫 15% 돌파
청년층, 부양부담 20년새 2배로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급증한 반면 0~14세 유소년인구는 631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2.6%에 그쳤다. 전년(648만 명)보다 17만 명 줄었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도 3594만 명(비중 71.9%)으로 1년 전 3610만 명(비중 72.2%)보다 16만 명 감소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한국은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했다.지난해 중위연령은 43.7세로 전년보다 0.6세 높아졌다. 중위연령이란 전체 내국인을 연령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가운데 있는 사람의 나이를 말한다.
청·장년층 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노년층 인구 비율을 뜻하는 ‘노년부양비’는 2018년 20.5에서 작년 21.5로 높아졌다. 2000년 10.2 대비 두 배 이상으로 상승했다. 청·장년층의 노인 부양 부담이 급격히 늘어난 것이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는 1041만 가구로 전체의 51.1%에 달했다. 50.1%였던 2018년에 비해 39만 가구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76.8%)이 아파트와 연립주택 등 공동주택에 사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지난해 국내 수도권 집중도는 심화됐다. 수도권 인구는 2589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50.0%를 차지했다. 수도권 인구는 처음으로 전국의 절반에 달했다. 2000년(46.3%)에 비해선 19년 새 3.7%포인트 높아졌다. 이번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집계된 인구 수는 통계청이 지난 1월 발표한 ‘2019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를 보완해 내놓은 수치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