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자 사다리' 만드는 김미애 "법안 내보니 대기업·공무원부터 혜택받더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과거에 ‘약자’를 정해둔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봐요. 숨어있는 약자가 많습니다. 돌봄 공백 겪는 맞벌이 부부, 생계가 막막한 소상공인들, 노동조합 밖 노동자들. 법안 발의해보니 가장 먼저 혜택을 보는 건 공무원과 대기업 직원들이더라구요.”
김미애 미래통합당 ‘약자와의 동행 위원회(약동위원회)’ 신임 위원장은 3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통합당이 함께 해야할 약자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당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많은 워킹맘들이 아이를 학교도 학원도 못 보내고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며 “이 문제는 곧 교육격차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이어 “소상공인, 특수고용노동자, 방과후 교사처럼 열악한 근무환경에 놓여있는 노조 밖 노동자들도 많다”며 “이들까지 함께 살리는 방향으로 가겠다”고 했다.
부산 지역 초선인 김 위원장은 지난 24일 통합당 비대위 산하 약자와의 동행 위원장으로 임명됐다. 통합당이 갖고 있는 기득권 정당 이미지에서 벗어나 소외계층을 감싸안으며 중도로의 외연 확장을 이끄는 중책을 맡았다. 그는 자신이 위원장으로 임명된 배경에 대해 “제 삶도 순탄치는 않았다”며 “무시당하고 소외당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 잘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일찍 어머니를 여읜 그는 17살 때 학교를 그만두고 방직공장에서 일했다. 20대엔 보험설계사와 식당 일을 하다가 29살 때 동아대 법대(야간)에 진학했고 5년 뒤 사법고시에 합격했다. 그는 “‘개천에서 용났다’고 하는데 나 혼자 여기까지 올 수는 없었다”며 “공장 다닐 때 도와준 언니들, 식당할 때 ‘젊은 애가 열심히 산다’고 찾아와준 손님들, 대학에선 공부 열심히 했더니 장학금에 기숙사까지 줬다”고 설명했다. 그는 “갚아야한다고 생각했고 늘 꿈꿨던 게 약자와의 동행이었다”고 했다.
그는 현 정부가 추진하는 많은 정책들이 사회의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는 게 안타깝다고 했다. 최근 정부·여당이 추진한 임대차보호법을 예로 들면서 “임차인을 살리기 위해 임대인을 죽이는 것은 결코 함께 가는 게 아니다”라며 “누군가를 적으로 만들고 희생시키는 방향으로 가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탁상공론 정책도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정부가 여러 사업들을 만들었지만 집행률이 떨어지는 게 너무 많다”며 “당장 코로나19로 사회복지시설을 찾는 봉사인력이 크게 줄었는데 대책이 없다. 나는 상황을 아니까 너무 애가 타 죽겠다”고 했다.
기득권인 공무원들과 국회의원들이 약자를 이해하려면 현장에 가야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최근 수해로 피해를 입은 지역을 찾아 봉사활동을 한 경험을 언급하면서 “온전한 가구 하나가 안 남은 수해민들을 보니 가슴이 찢어졌다”며 “이 분들은 이제 어디서 살아야 할까 싶으니 당장 입법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그동안의 통합당 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의 날을 세웠다. 그는 “약자라는 이름 아래 기득권화된 세력도 있지만, 인권 사각지대에 있는 진짜 힘든 사람들이 더 많다. 이들을 살피는 일을 통합당이 할 수 있었지만 이념에 매몰돼 하지 않았다”며 “사실 약자와의 동행은 보수의 가치”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제도에 들어와있지 못한 소외된 사람들부터 챙기겠다”며 “구호만 요란한 정책이 아니라 국민들의 삶을 조금이라도 나아지게 만들 수 있는 방향을 찾겠다”고 말했다.
고은이 기자/사진=신경훈 기자 koko@hankyung.com
김미애 미래통합당 ‘약자와의 동행 위원회(약동위원회)’ 신임 위원장은 3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통합당이 함께 해야할 약자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당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많은 워킹맘들이 아이를 학교도 학원도 못 보내고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며 “이 문제는 곧 교육격차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이어 “소상공인, 특수고용노동자, 방과후 교사처럼 열악한 근무환경에 놓여있는 노조 밖 노동자들도 많다”며 “이들까지 함께 살리는 방향으로 가겠다”고 했다.
부산 지역 초선인 김 위원장은 지난 24일 통합당 비대위 산하 약자와의 동행 위원장으로 임명됐다. 통합당이 갖고 있는 기득권 정당 이미지에서 벗어나 소외계층을 감싸안으며 중도로의 외연 확장을 이끄는 중책을 맡았다. 그는 자신이 위원장으로 임명된 배경에 대해 “제 삶도 순탄치는 않았다”며 “무시당하고 소외당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 잘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일찍 어머니를 여읜 그는 17살 때 학교를 그만두고 방직공장에서 일했다. 20대엔 보험설계사와 식당 일을 하다가 29살 때 동아대 법대(야간)에 진학했고 5년 뒤 사법고시에 합격했다. 그는 “‘개천에서 용났다’고 하는데 나 혼자 여기까지 올 수는 없었다”며 “공장 다닐 때 도와준 언니들, 식당할 때 ‘젊은 애가 열심히 산다’고 찾아와준 손님들, 대학에선 공부 열심히 했더니 장학금에 기숙사까지 줬다”고 설명했다. 그는 “갚아야한다고 생각했고 늘 꿈꿨던 게 약자와의 동행이었다”고 했다.
그는 현 정부가 추진하는 많은 정책들이 사회의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는 게 안타깝다고 했다. 최근 정부·여당이 추진한 임대차보호법을 예로 들면서 “임차인을 살리기 위해 임대인을 죽이는 것은 결코 함께 가는 게 아니다”라며 “누군가를 적으로 만들고 희생시키는 방향으로 가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탁상공론 정책도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정부가 여러 사업들을 만들었지만 집행률이 떨어지는 게 너무 많다”며 “당장 코로나19로 사회복지시설을 찾는 봉사인력이 크게 줄었는데 대책이 없다. 나는 상황을 아니까 너무 애가 타 죽겠다”고 했다.
기득권인 공무원들과 국회의원들이 약자를 이해하려면 현장에 가야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최근 수해로 피해를 입은 지역을 찾아 봉사활동을 한 경험을 언급하면서 “온전한 가구 하나가 안 남은 수해민들을 보니 가슴이 찢어졌다”며 “이 분들은 이제 어디서 살아야 할까 싶으니 당장 입법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그동안의 통합당 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의 날을 세웠다. 그는 “약자라는 이름 아래 기득권화된 세력도 있지만, 인권 사각지대에 있는 진짜 힘든 사람들이 더 많다. 이들을 살피는 일을 통합당이 할 수 있었지만 이념에 매몰돼 하지 않았다”며 “사실 약자와의 동행은 보수의 가치”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제도에 들어와있지 못한 소외된 사람들부터 챙기겠다”며 “구호만 요란한 정책이 아니라 국민들의 삶을 조금이라도 나아지게 만들 수 있는 방향을 찾겠다”고 말했다.
고은이 기자/사진=신경훈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