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기가 된 벤처펀드에서 엑시트(투자금 회수) 시점이 도래하지 않은 포트폴리오(투자기업군)만으로 새로운 펀드를 재출범시킨 사례가 국내 처음으로 나왔다. 펀드에 자금을 댄 출자자(LP) 간 지분 거래를 활성화해 투자금 회수를 돕고, 창업초기형 펀드가 예비 유니콘급 기업을 육성하는 ‘그로스(growth) 펀드’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포트폴리오 3분의 2 남기고 새 펀드로

2일 벤처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모태펀드 운용사인 한국벤처투자와 출자자들은 지난 6월 만기가 도래한 캡스톤파트너스의 360억원 규모 ‘캡스톤3호 벤처투자조합’의 잔여 포트폴리오 전부를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한국성장금융)의 새로운 LP들에게 일괄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포트폴리오의 3분의 2가량을 남기고 만기가 도래한 벤처펀드를 LP들의 출자지분 거래를 통해 운용사(GP)가 동일한 새로운 펀드로 재탄생시킨 ‘자본재조정(recapitalization)’ 펀드다.

인수자는 국내 벤처투자시장에서 모태펀드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출자기관인 한국성장금융이다. 새로운 펀드에 220억원을 출자하는 한국성장금융을 중심으로 복수의 LP들이 220억원을 출자해 총 440억원 규모의 새 펀드가 결성된다. 기존 출자자들은 그간의 청산수익에 이번 지분 매각을 통해 기대보다 높은 수준의 수익을 얻고 자금을 회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초기 단계 스타트업 투자를 목표로 2012년 결성된 ‘캡스톤3호 벤처투자조합’은 드라마앤컴퍼니(리멤버), 직방, 마이리얼트립, 샌드버드, 왓챠 등 현재 기업가치가 수천억원에 달하는 다수의 예비 유니콘 기업을 발굴해 기대 수익률이 높은 펀드로 꼽힌다. 새롭게 만들어지는 펀드에는 원금 대비 20배가량의 수익을 내고 회수에 성공한 리멤버를 제외한 대부분 포트폴리오가 남았다.

이번 거래는 다른 펀드가 보유한 투자자산을 펀드 청산을 전제로 일괄 인수하는 테일엔드(tail-end) 방식 출자지분 거래의 국내 최초 사례다. 이영민 한국벤처투자 대표는 “일부 LP 지분이나 특정 기업의 구주를 거래하는 일반적인 세컨더리 펀드와는 다른 완전히 새로운 거래 유형을 개척한 것”이라고 말했다.

“출자자·운용사·기업 모두에 이득”

출자지분 유동화의 활성화는 벤처펀드에 투자한 민간 자본의 회수 가능성을 높여 ‘투자→회수→재투자’로 이어지는 투자 생태계의 선순환을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지분을 매각하는 기존 LP들은 일정 규모의 수익을 달성한 펀드의 경우 만기를 기다리지 않고 빠르게 청산해 수익성과 유동성이란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새 LP들은 우량 자산을 한 번에 확보하고, 새로운 블라인드 펀드가 갖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출자지분 유동화는 LP 사이의 이해관계 조정이 어려워 활성화되지 못했다. 관련 국내 시장 규모는 약 2000억~3000억원 수준이다. 연간 국내 신규 벤처투자 규모가 지난해 4조2777억원를 기록한 것을 감안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