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디지털 뉴딜' 위한 기업의 첫걸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고 - 송기홍 한국IBM 사장
‘공공데이터’ ‘데이터댐’ ‘데이터 옴부즈만’. 정부가 최근 발표한 디지털뉴딜 정책의 주요 연관 검색어다. 정부는 이번 디지털뉴딜을 통해 현재 16조8000억원 규모인 데이터시장을 2025년까지 43조원대로 키우는 것을 목표로 세우고 데이터 경제 활성화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번 디지털뉴딜 정책은 개인, 기업, 정부기관이 21세기 최고의 자원으로 불리는 데이터 활용을 극대화해 경쟁력을 높일 좋은 기회로 평가된다.
그렇다면 기업으로서 디지털뉴딜 정책의 수혜자가 되기 위해 가장 먼저 고민해야 할 부분은 무엇일까. 공공데이터의 활용 방안 모색이다. 정부는 현재 10개인 빅데이터 플랫폼을 30개로 확대하고, 14만2000개 공공데이터를 데이터댐을 통해 개인과 민간기업에 개방할 계획이다. 기업은 다양한 종류와 방대한 양의 공공데이터 중 실제 사업에 도움이 될 유의미한 데이터를 식별하고 활용할 아이디어를 찾아내야 한다. 데이터는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열려 있지만 활용 아이디어는 고유한 창의성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공공데이터를 기존에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와 연계하는 과정을 거쳐 새로운 인사이트와 솔루션 또는 신제품을 내놓을 수 있어야 한다. 이런 활동은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통해 가능하게 되며 클라우드와 5세대(5G) 이동통신 등의 인프라에서 구현이 가능하다. 클라우드는 이 모든 기술의 기반이 되는 플랫폼으로 디지털뉴딜 시대의 핵심 요소로 꼽힌다.
기업들은 데이터 보안에 대해서도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최근 IBM과 보안컨설팅 전문 기업 포네몬인스티튜트가 공동 조사 분석한 ‘2020 글로벌 기업 데이터 유출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당 데이터 유출 피해 금액이 약 38억원으로 지난해보다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는 데이터 유출 피해액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외 선도 기업들이 AI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해 보안 자동화 기술을 도입했기 때문이다. 국내 기업들도 보안 자동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뉴딜과 관련해 많은 기업이 고민하는 또 다른 주요 영역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전환)을 담당할 인력과 기술이다. 아직 개별 기업에 데이터 및 AI 전문가, 클라우드 개발자 등 디지털 전환을 담당할 인력과 기술이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런 부분은 최신 기술의 전문성과 여러 산업에 대한 경험이 있는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해 해결이 가능하다. 최근 IBM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도 ‘다이내믹 딜리버리 모델’이라는 비대면 방식의 정보기술(IT) 서비스를 개발해 고객사를 지원하고 있다.
디지털뉴딜 정책의 성패는 기업들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얼마만큼의 경제적 부가가치와 생산성 향상을 이뤄내는가에 달려 있다. 기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생존하기 위해 디지털뉴딜이라는 기회를 십분 활용해야 한다. 개인, 정부, 기업의 창의적 노력을 통해 디지털뉴딜이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다시 한번 높이는 성공적인 정책으로 평가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렇다면 기업으로서 디지털뉴딜 정책의 수혜자가 되기 위해 가장 먼저 고민해야 할 부분은 무엇일까. 공공데이터의 활용 방안 모색이다. 정부는 현재 10개인 빅데이터 플랫폼을 30개로 확대하고, 14만2000개 공공데이터를 데이터댐을 통해 개인과 민간기업에 개방할 계획이다. 기업은 다양한 종류와 방대한 양의 공공데이터 중 실제 사업에 도움이 될 유의미한 데이터를 식별하고 활용할 아이디어를 찾아내야 한다. 데이터는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열려 있지만 활용 아이디어는 고유한 창의성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공공데이터를 기존에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와 연계하는 과정을 거쳐 새로운 인사이트와 솔루션 또는 신제품을 내놓을 수 있어야 한다. 이런 활동은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통해 가능하게 되며 클라우드와 5세대(5G) 이동통신 등의 인프라에서 구현이 가능하다. 클라우드는 이 모든 기술의 기반이 되는 플랫폼으로 디지털뉴딜 시대의 핵심 요소로 꼽힌다.
기업들은 데이터 보안에 대해서도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최근 IBM과 보안컨설팅 전문 기업 포네몬인스티튜트가 공동 조사 분석한 ‘2020 글로벌 기업 데이터 유출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당 데이터 유출 피해 금액이 약 38억원으로 지난해보다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는 데이터 유출 피해액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외 선도 기업들이 AI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해 보안 자동화 기술을 도입했기 때문이다. 국내 기업들도 보안 자동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뉴딜과 관련해 많은 기업이 고민하는 또 다른 주요 영역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전환)을 담당할 인력과 기술이다. 아직 개별 기업에 데이터 및 AI 전문가, 클라우드 개발자 등 디지털 전환을 담당할 인력과 기술이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런 부분은 최신 기술의 전문성과 여러 산업에 대한 경험이 있는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해 해결이 가능하다. 최근 IBM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도 ‘다이내믹 딜리버리 모델’이라는 비대면 방식의 정보기술(IT) 서비스를 개발해 고객사를 지원하고 있다.
디지털뉴딜 정책의 성패는 기업들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얼마만큼의 경제적 부가가치와 생산성 향상을 이뤄내는가에 달려 있다. 기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생존하기 위해 디지털뉴딜이라는 기회를 십분 활용해야 한다. 개인, 정부, 기업의 창의적 노력을 통해 디지털뉴딜이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다시 한번 높이는 성공적인 정책으로 평가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