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하라고 지급한 美 재난지원금, 절반도 안썼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정부가 올 상반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2600억달러(약 308조원)가 넘는 현금을 재난지원금으로 지급했지만 정작 뚜렷한 소비 진작 효과는 보지 못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급받은 현금의 약 60%는 저축하거나 대출을 상환하는 데 사용됐기 때문이다.
6일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미 시카고대 베커프리드만연구소는 최근 이런 내용이 담긴 연구 보고서를 공개했다. 올 상반기 미국인들에게 지급된 현금의 약 40%만 실제 소비로 이어졌다는 게 보고서의 핵심이다. 올리비에르 코이비온 미 텍사스대 경제학과 교수, 마이클 웨버 시카고대 부스경영대학원 교수, 유리 고로드니첸코 UC버클리대 경제학과 교수의 공동연구 결과다. 이들은 시장조사업체 닐슨이 미국인 1만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활용했다.
앞서 미 행정부와 의회는 지난 3월 2조2000억달러 규모 경기부양 패키지 법안을 통과시킨 뒤 재난지원금 지급에 나섰다. 미국인은 성인 기준 인당 최대 1200달러(143만원)를 받았다. 미성년자에게도 인당 500달러가 주어졌다. 자녀가 2명인 4인 가족에게는 3400달러(404만원)가 지원됐다. 미 국세청에 따르면 당치 1억5900만건, 2650억달러 규모의 지원금이 지급됐다.
보고서는 이 가운데 실제 소비로 이어진 금액이 42%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식음료 및 내구재 구매, 의료지출 등을 합한 규모다. 나머지 31%는 대출 상환에 쓰였고, 27%는 저축에 투입됐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경기부양 패키지의 첫 번째 목표가 소비진작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실망스러운 결과라고 이코노미스트는 평가했다.
그나마 소비 비중이 높은 것은 저소득층이었다. 연 소득 5000달러 미만인 사람들은 재난지원금 중 60% 이상을 소비했지만, 연 소득 5만달러 이상인 계층에서는 그 비중이 40%를 밑돌았다. 가계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15%만 "재난지원금을 주로 소비에 사용했다"고 답했다. 반면 "저축했다"는 응답자는 33%, "대출을 상환했다"는 비중은 52%에 달했다.
현금지급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로는 크게 두 가지로 축약된다. 우선 코로나19 여파로 여행과 쇼핑, 외식, 등 소비활동 전반이 멈춰선 상황에서 마땅한 소비처를 찾기가 어려웠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현금지급액이 커질수록 가계 지출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줄어드는 일종의 '수확체감의 법칙'이 작용한다는 관측이다. 단순히 많은 금액을 재난지원금으로 지급한다고 해서 무조건 소비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