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하라고 지급한 美 재난지원금, 절반도 안썼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정부가 올 상반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2600억달러(약 308조원)가 넘는 현금을 재난지원금으로 지급했지만 정작 뚜렷한 소비 진작 효과는 보지 못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급받은 현금의 약 60%는 저축하거나 대출을 상환하는 데 사용됐기 때문이다.
6일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미 시카고대 베커프리드만연구소는 최근 이런 내용이 담긴 연구 보고서를 공개했다. 올 상반기 미국인들에게 지급된 현금의 약 40%만 실제 소비로 이어졌다는 게 보고서의 핵심이다. 올리비에르 코이비온 미 텍사스대 경제학과 교수, 마이클 웨버 시카고대 부스경영대학원 교수, 유리 고로드니첸코 UC버클리대 경제학과 교수의 공동연구 결과다. 이들은 시장조사업체 닐슨이 미국인 1만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활용했다.
보고서는 이 가운데 실제 소비로 이어진 금액이 42%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식음료 및 내구재 구매, 의료지출 등을 합한 규모다. 나머지 31%는 대출 상환에 쓰였고, 27%는 저축에 투입됐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경기부양 패키지의 첫 번째 목표가 소비진작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실망스러운 결과라고 이코노미스트는 평가했다.
그나마 소비 비중이 높은 것은 저소득층이었다. 연 소득 5000달러 미만인 사람들은 재난지원금 중 60% 이상을 소비했지만, 연 소득 5만달러 이상인 계층에서는 그 비중이 40%를 밑돌았다. 가계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15%만 "재난지원금을 주로 소비에 사용했다"고 답했다. 반면 "저축했다"는 응답자는 33%, "대출을 상환했다"는 비중은 52%에 달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