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안구 건강도 '적신호'…눈 건강 어떻게 지킬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에어컨 바람 직접 쐬는 것 피해야
렌즈 착용시 손상여부 잘 살펴야
렌즈 착용시 손상여부 잘 살펴야

실내 활동 시간이 길어지면 스마트폰 사용 및 TV 시청시간이 자연스럽게 증가해 눈의 피로도가 가중된다. 이는 눈물샘의 기능 저하로 이어져 눈물이 제대로 생성되지 못하는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
때에 따라서는 인공눈물이 유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인공눈물은 부족한 눈물을 일시적으로 공급해 안구건조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뿐,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아니다. 다회용 인공눈물은 세균 번식을 막기 위해 보존제를 첨가하기도 하는데, 이는 각막염 등의 안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김응석 경희대학교 안과 교수는 "보존제가 첨가된 인공눈물은 최대한 사용을 자제하거나 사용 횟수를 하루 6회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며 "일회용 인공눈물은 오염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12시간 이내의 사용을 권장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안구건조증 예방을 위해서는 가벼운 눈 운동을 하거나 눈을 감은 채 휴식을 취하며, 눈을 만지기 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 세균 감염을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렌즈를 착용하기 전에는 렌즈의 손상여부를 잘 살펴봐야 한다. 렌즈에 이물이 있는지, 찢어지거나 깨진 부분은 없는지 확인하고, 사용한 후에는 매번 세척하고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 소독이나 관리가 필요 없는 일회용렌즈가 대안일 수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장기간 사용하지 않았던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때는 반드시 안과에 방문하여 자신의 눈 상태를 정확히 검사하고, 보유하고 있는 렌즈의 도수나 모양을 확인해야 한다.
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