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문을 닫는 자영업자가 늘고 있다. 7일 서울 신촌의 한 노래연습장 입구에 ‘망했습니다’로 시작되는 폐업 안내문이 붙어 있다.  신경훈  기자  khshin@hankyung.com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문을 닫는 자영업자가 늘고 있다. 7일 서울 신촌의 한 노래연습장 입구에 ‘망했습니다’로 시작되는 폐업 안내문이 붙어 있다. 신경훈 기자 khshin@hankyung.com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직원을 둔 자영업자가 급격히 줄었다.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 등으로 손님이 줄자 직원을 내보낸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8일 중소기업연구원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7월 자영업자는 554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만7000명 줄었다.

지난해 7월에는 자영업자가 전년 동월 대비 2만6000명 줄어드는 데 그쳤다. 1년 만에 자영업자 감소 폭이 4.9배로 커진 것이다.

자영업자 중에서 직원을 둔 자영업자가 많이 줄었다. 올해 7월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34만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만5000명 감소했다. 지난해 7월에는 1년 전보다 13만9000명 줄어드는 데 그쳤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늘긴 했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증가 폭의 격차가 컸다.

올해 7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20만3000명으로 지난해 7월보다 불과 4만8000명 증가했다. 지난해 7월에 1년 전보다 11만3000명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였다.

통상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가 직원을 내보내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되거나 일반 임금 근로자가 회사를 그만두고 자본금이 많지 않은 창업 전선에 뛰어들면 증가하는 편이다.

지난해 7월의 경우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줄어든 만큼은 아니지만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늘다 보니 전체 자영업자 수는 2만6000명 감소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올해는 사정이 달랐다. 올해 7월에는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1년 전보다 17만5000명이나 줄었는데도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만8000명 증가했다.

이는 그만큼 평소보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로 변경되거나 임금 근로자의 창업이 많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와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 등으로 자영업자들은 매출이 급감하지만 임대료 부담 등은 줄지 않아 벼랑 끝으로 몰리는 상황이다. 직원을 둔 자영업자들은 월급을 지급해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더 클 수밖에 없다.

정부는 지난 6일까지였던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 두기 2.5단계를 오는 13일까지 1주일 더 연장했고 전국에 시행 중인 거리 두기 2단계는 2주 연장해 오는 20일까지 유지하기로 해 향후 영향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