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석2·성북1 등 공공재개발 추진 관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재개발·재건축 시장 전망
하반기 서울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의 주요 변수로 공공재개발·공공재건축이 떠오르고 있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참여해 용적률을 상향하고 인허가를 지원하는 대신 늘어나는 용적률의 20~50%를 공공에 기부하는 정책이다.
업계에 따르면 흑석2구역과 성북1구역, 양평14구역 등이 공공재개발 참여 의향서를 제출했다. 정부의 정책 발표 이후 한 개 조합이 추가로 참여의향서를 써낸 셈이다. 서울 정비사업 조합들은 공공재개발에 따른 이익과 손실을 저울질하고 있다. 마포구의 한 재개발조합 관계자는 “공공재개발을 통해 사업 기간을 줄여 사업성을 높이자는 의견과 공공이 들어오면 사업 진행이 더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뒤섞여 있다”며 “연말까지 사업 신청을 고려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지난 7월 29일 시행한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도 하반기 정비사업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 규제 강화로 서울 하반기 분양 물량이 대폭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다음달 강동구 고덕동 ‘힐스테이트 고덕’(809가구)과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225가구)가 분양할 예정이다. 내년으로 공급 시기를 연기하는 단지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9~10월 서울에서는 11개 단지에서 2621가구가 일반분양했다. 삼성동 ‘래미안 라클래시’(112가구)를 비롯해 △역삼동 ‘센트럴아이파크’(138가구) △보문동 ‘보문 리슈빌 하우트’(221가구) △거여동 ‘송파 시그니처롯데캐슬’(745가구) 등이 청약을 받았다.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일반분양 물량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셈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정비사업의 경우 분양가 규제나 조합 내부 문제로 분양이 쉽지 않은 곳이 많다고 지적했다.
올 하반기 분양을 예정했던 강동구 ‘둔촌주공 아파트’(4869가구)는 사업이 무기한 연기됐다. 단지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고분양가 관리지역으로 포함돼 3.3㎡당 분양가격이 예정 가격인 3500만원에서 2970만원으로 대폭 낮아져 집행부가 해임되고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
업계에 따르면 흑석2구역과 성북1구역, 양평14구역 등이 공공재개발 참여 의향서를 제출했다. 정부의 정책 발표 이후 한 개 조합이 추가로 참여의향서를 써낸 셈이다. 서울 정비사업 조합들은 공공재개발에 따른 이익과 손실을 저울질하고 있다. 마포구의 한 재개발조합 관계자는 “공공재개발을 통해 사업 기간을 줄여 사업성을 높이자는 의견과 공공이 들어오면 사업 진행이 더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뒤섞여 있다”며 “연말까지 사업 신청을 고려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지난 7월 29일 시행한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도 하반기 정비사업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 규제 강화로 서울 하반기 분양 물량이 대폭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다음달 강동구 고덕동 ‘힐스테이트 고덕’(809가구)과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225가구)가 분양할 예정이다. 내년으로 공급 시기를 연기하는 단지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9~10월 서울에서는 11개 단지에서 2621가구가 일반분양했다. 삼성동 ‘래미안 라클래시’(112가구)를 비롯해 △역삼동 ‘센트럴아이파크’(138가구) △보문동 ‘보문 리슈빌 하우트’(221가구) △거여동 ‘송파 시그니처롯데캐슬’(745가구) 등이 청약을 받았다.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일반분양 물량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셈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정비사업의 경우 분양가 규제나 조합 내부 문제로 분양이 쉽지 않은 곳이 많다고 지적했다.
올 하반기 분양을 예정했던 강동구 ‘둔촌주공 아파트’(4869가구)는 사업이 무기한 연기됐다. 단지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고분양가 관리지역으로 포함돼 3.3㎡당 분양가격이 예정 가격인 3500만원에서 2970만원으로 대폭 낮아져 집행부가 해임되고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