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전주공장에서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출고를 앞두고 점검하는 모습. 사진=현대차
현대차 전주공장에서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출고를 앞두고 점검하는 모습. 사진=현대차
'궁극의 친환경차'로 불리는 수소연료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각국 정부와 기업들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수소 굴기(倔起·우뚝 섬)'를 내건 중국의 베이징은 2025년 수소차 1만대 보급 등을 담은 발전 계획을 내놨다. 미국 제너럴모터스(GM)는 수소차 스타트업 니콜라에 20억달러(약 2조4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중국 "2050년 연간 500만대 수소차 판매"

베이징시는 8일 '수소차산업 발전계획(2020~2025년)'을 발표했다. 2025년까지 지역 내 수소차 누적 판매량 1만대를 달성하고, 5~10개의 수소차 관련 선도기업을 육성해 연관산업 부가가치를 240억위안(약 4조원) 창출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베이징은 수소차 구매 시 정부 보조금(최대 20만위안)의 50%를 추가해 주고 있다.

베이징시는 또 남서부 다싱구를 국제수소에너지시범구역으로 지정했다. 다싱은 베이징의 제2국제공항(다싱공항)이 지난해 9월 개항한 지역으로 베이징-톈진-허베이성으로 이어지는 '징진지(京津冀)' 경제권의 물류 허브다. 베이징은 2022년 개최 예정인 동계올림픽을 수소산업 경쟁력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로 활용한다는 목표다.

베이징시는 "이번 계획을 충실히 수행하면 중앙정부의 수소산업 육성 거점으로 선발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중국은 2016년 내놓은 수소차 보급 로드맵에서 '2050년 수소충전소 5000개 설치·연간 수소차 판매 500만대'를 내걸었다.

원대한 목표와는 대조적으로 중국에는 아직 수소 승용차를 만드는 기업은 없다. 베이징자동차와 상하이자동차가 2018년부터 수소 트럭과 버스 등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지난해까지 누적 판매량은 3000여대다. 하지만 정부의 강력한 육성 정책에 부응해 베이징차, 상하이차, 디이자동차 등 10여개 기업이 2025년까지 수소 승용차를 내놓을 예정이다.

지난해 글로벌 수소차 시장에서 현대자동차에 밀린 도요타자동차가 중국 시장을 잡기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도요타는 지난 6월 베이징차, 디이차, 둥펑자동차, 광저우자동차 등 4개 중국 완성차업체가 참여하는 수소연료전지업체를 설립했다. 이 합자사는 지분을 투자한 중국 기업들에 수소차의 엔진에 해당하는 연료전지를 공급할 예정이다.

지난해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 수소차는 7578대 팔려 전년 대비 90%가량 커졌다. 현대차 넥쏘는 4818대로 64%를 차지했다. 도요타 미라이가 2407대, 혼다 클래러티가 349대로 그 뒤를 이었다. 현대차는 중국 상용차 자회사인 쓰촨현대를 수소차 전문 생산기지로 전환하고 있다.

합작 소식에 니콜라·GM 주가 급등


미국에선 전통의 완성차업체 GM이 수소 상용차 스타트업 니콜라와 전략적 파트너 관계를 맺었다고 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GM은 니콜라 지분 11%를 20억달러에 취득하고 임원 1명을 지명할 권리를 확보했다. 다만 20억달러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것은 아니며, 니콜라가 GM의 연료전지 기술과 전기차 구동 시스템 등을 활용하는 권리를 현물출자 형식으로 양도했다.

두 회사는 첫 합작 프로젝트로 니콜라가 2023년 출시를 공언한 트럭 '배저'를 제시했다. GM이 자동차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배저를 설계 제작하고, 판매 영업은 니콜라가 하게 된다.

니콜라는 수소차와 수소 충전인프라 구축 등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이다. 국내에서는 한화에너지와 한화종합화학이 2018년 11월 니콜라에 총 1억달러를 투자한 바 있다. 두 회사의 합작 소식에 전날 뉴욕증시에서 니콜라 주가는 40.8% 폭등했다. GM도 7.9% 뛰었다.

수소차는 연료탱크에 저장한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연료전지로 반응시켜 얻는 전기로 구동하는 자동차다. 반응 시 물만 배출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이 없다. 현재는 원유 정제 등의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수소를 활용한다. 앞으로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에너지 발전이 확대되면 바닷물을 전기로 분해해 수소를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게 수소업계의 설명이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