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뉴스에 대한 외압 논란은 포털사들이 속속 인공지능(AI) 알고리즘 시스템을 뉴스 배열에 적용하면서 수그러드는 듯 했으나 윤 의원의 "카카오 들어오라 하세요"라는 문자로 또다시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네이버 출신으로 포털사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윤 의원의 행동으로 비춰봤을 때 '외압이 가능한(?)' 구조 아니냐는 것이다.
반면 네이버와 카카오 측은 "AI 알고리즘에 따라 뉴스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람이 개입될 여지가 없다"며 적극 선긋기에 나서는 모양새다.
30대 남녀 뉴스 화면 직접 비교해보니
10일 포털사의 AI 기반 맞춤형 뉴스 추천 시스템에 따르면 개인별 관심사에 따라 각각의 화면에 배열되는 뉴스는 이용자마다 다르다. 서로 다른 업종에 종사하고 있는 30대 초반 남녀 기준 각각 두 개의 휴대폰 단말기에서 네이버와 다음 포털 뉴스 배열을 직접 비교해봤다. 지난 9일 오후 11시33분 기준 휴대폰 A와 B 단말기에서 각각 네이버 뉴스 배열을 확인했다. 네이버 뉴스 첫번째 화면은 이용자가 구독신청한 언론사가 직접 편집한 화면이, 두번째 화면에는 AI 알고리즘이 적용된 자동 추천 뉴스가 뜬다.실제 두 휴대폰 속 네이버 뉴스 첫 번째 화면은 같았다. 기자가 구독 중인 한국경제 뉴스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편집되는 5건의 기사가 거의 동일했다. 편집 과정 중 캡처가 된 것으로 추정된 1건만 순간적으로 다르게 나타났지만 이내 모두 같은 뉴스가 배열됐다.
두 번째 뉴스 화면에서는 일부 주요 뉴스를 제외하고 각각 다른 뉴스가 배열됐다. 두 이용자가 어떤 그룹에 분류된 것인지는 알 수 없었지만, 다른 뉴스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이버는 2017년 2월 AI 기준 맞춤형 뉴스 추천 알고리즘 에어스(AiRS)를 도입하고 지난해 4월부터는 뉴스 배열에 전적으로 AI를 활용하고 있다.
이용자들이 소비하는 콘텐츠 패턴을 분석해 유사한 그룹을 만든 뒤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이들이 많이 본 콘텐츠를 추천한다. 따라서 콘텐츠 소비 활동이 100% 같지 않은 이상 두 단말기에서 같은 화면이 나타나기는 어렵다.
AI 알고리즘이 적용되고 있는 다음 뉴스페이지 메인화면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같은 시각 두 단말기 메인 화면에 배열된 7개 뉴스 가운데 절반 이상인 4건의 기사가 달랐다. <너도나도 영끌 대출…빚내서 집 사고 주식 투자 했다>, <추미애 부부·보좌관, 휴가 복귀 직전 일제히 민원했다>, <한국인은 걱정왕, 코로나 확진자 젤 적은데도 걱정은 14개국 중 1위> 3건의 기사는 일부 배열 위치를 제외하고는 동시에 나란히 노출됐다.
하지만 나머지 4건은 휴대폰 A에서는 <속내는 "시험 보고 싶은데"?…정부는 "국민 동의 먼저">, <코로나로 빈 학교서…교장부터 교사까지 막걸리 술판>, <시끄럽다고 인큐베이터에?…2-3명 신생아 포개기도>가 배열됐다.
휴대폰 B에는 <1조 원짜리 특수침투정 사업…요트회사에 맡겼다>, <김종인 "이낙연·이재명 둘 다 부담안돼, 대선 승리 50% 이상 확인">, <함덕해변에 어떻게 플라스틱 알갱이 펠릿이…청정 제주 시름> 기사가 보였다.
"뉴스편집 AI가 다해…천재지변 등 긴급 뉴스만 사람이 직접"
다음 운영사인 카카오 측은 윤영찬 '카카오 문자 논란'이 일자 "AI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뉴스 편집을 해오고 있어 사람이 개입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미 수년 전부터 뉴스 서비스 공정성 논란 등으로 사람의 개입 여지를 차단해 정치적 '외압'이 있더라도 실질적으로 뉴스 배열을 임의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주장이다.카카오는 네이버보다 훨씬 앞선 2015년 6월부터 AI 시스템 카카오i(옛 루빅스)를 도입했다. 이용자 반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룹을 분류한 뒤 맞춤형 뉴스를 선별해 배치하고 있는 원리다.
네이버 출신의 윤 의원이 이 같은 사실을 몰랐는지에 대해선 의문이 남는다. 윤 의원은 자신의 발언이 논란이 되자 "여야 대표의 연설 (뉴스 배열에) 왜 이렇게 차이가 났는지 알아봐야 겠다는 생각에서"라고 해명했다.
카카오는 정말 100% AI 시스템만으로 뉴스를 배열을 하는 걸까. 사실은 '반만' 맞는 이야기다. 회사 관계자는 천재지변이나 재해재난 등 '국민이 꼭 알아야 하는 뉴스'에 한해서는 임의배열한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여지가 좀 있는 셈이다.
카카오는 관계자는 "거의 그런 사례가 없지만 천재지변 등 국민이 꼭 알아야 하는 뉴스는 직접 배치되기도 한다"며 "다만 정치인 연설 등 이슈 정도의 수준은 직접 배열 대상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네이버 측은 전적으로 AI 알고리즘이 적용된다고 강조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네이버 뉴스는 사람이 개입할 수 없다"며 "천재지변 등과 같은 재난재해정보는 메인 화면에 자리한 검색창 아래 관련 사이트 링크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고 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