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흑자전환 전망에…LG디스플레이 '52주 최고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플라스틱OLED 매출 호조
LCD패널 가격 이달들어 상승
증권사들, 목표가 잇따라 상향
LCD패널 가격 이달들어 상승
증권사들, 목표가 잇따라 상향
LG디스플레이 주가가 3분기 실적 개선 전망을 바탕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주요 제품 실적이 빠르게 호전되면서 3분기에 흑자전환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증권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11일 2.13% 오른 1만67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기존 52주 내 최고가인 1만6600원을 넘어섰다.
2018년 초만 하더라도 3만원대였던 LG디스플레이 주가는 실적 악화로 인해 고전을 면치 못했다. 지난해 LG디스플레이는 1조3594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전환했다.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도 -8096억원으로 적자를 지속할 전망이다. 상반기에만 8789억원의 영업손실을 냈기 때문이다.
DB금융투자는 LG디스플레이가 3분기에 942억원의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최근 리포트에서 전망했다.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인 -101억원을 대폭 웃도는 수준이다. 미래에셋대우도 3분기 영업이익을 740억원으로 예상했다.
흑자의 근거는 크게 두 가지다. 우선 중소형 OLED로 분류되는 플라스틱OLED(POLED)가 해외에서 선전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벤츠, 캐딜락 등 주요 자동차 제조사에 POLED를 공급하고 있다.
LCD패널 가격도 긍정적인 흐름이다. 미래에셋대우에 따르면 9월 상반월 LCD패널 가격은 8월 하반월 대비 55인치 기준 3.8% 상승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넷플릭스 등 콘텐츠 시장 수요가 늘며 모니터·TV 수요도 덩달아 늘어난 영향이다. 대형 OLED는 이 덕에 유럽 시장에서 물량을 늘리고 있다.
증권사들도 LG디스플레이 목표주가를 속속 올리며 달라진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의 목표주가 평균치는 1개월 전 1만5400원에서 최근 1만7000원으로 높아졌다. 이달 들어 목표주가를 내놓은 9개 증권사 중 8곳이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 데 따른 것이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LG디스플레이는 지난 11일 2.13% 오른 1만67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기존 52주 내 최고가인 1만6600원을 넘어섰다.
2018년 초만 하더라도 3만원대였던 LG디스플레이 주가는 실적 악화로 인해 고전을 면치 못했다. 지난해 LG디스플레이는 1조3594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전환했다.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도 -8096억원으로 적자를 지속할 전망이다. 상반기에만 8789억원의 영업손실을 냈기 때문이다.
DB금융투자는 LG디스플레이가 3분기에 942억원의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최근 리포트에서 전망했다.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인 -101억원을 대폭 웃도는 수준이다. 미래에셋대우도 3분기 영업이익을 740억원으로 예상했다.
흑자의 근거는 크게 두 가지다. 우선 중소형 OLED로 분류되는 플라스틱OLED(POLED)가 해외에서 선전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벤츠, 캐딜락 등 주요 자동차 제조사에 POLED를 공급하고 있다.
LCD패널 가격도 긍정적인 흐름이다. 미래에셋대우에 따르면 9월 상반월 LCD패널 가격은 8월 하반월 대비 55인치 기준 3.8% 상승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넷플릭스 등 콘텐츠 시장 수요가 늘며 모니터·TV 수요도 덩달아 늘어난 영향이다. 대형 OLED는 이 덕에 유럽 시장에서 물량을 늘리고 있다.
증권사들도 LG디스플레이 목표주가를 속속 올리며 달라진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의 목표주가 평균치는 1개월 전 1만5400원에서 최근 1만7000원으로 높아졌다. 이달 들어 목표주가를 내놓은 9개 증권사 중 8곳이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 데 따른 것이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