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부천시 상동역사거리 인근 한 노래연습장 문이 집합금지 행정명령서가 붙은 채 잠겨있다. 민경진 기자
경기 부천시 상동역사거리 인근 한 노래연습장 문이 집합금지 행정명령서가 붙은 채 잠겨있다. 민경진 기자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2.5단계에서 2단계로 하향 조정된 첫날인 14일 오전 상업시설이 밀집한 경기 부천시 상동역사거리 인근 한 프라자 상가. 이곳은 ‘집합금지 행정명령서’가 붙은 점포들 사이로 적막감이 흘렀다. 드물게 불이 켜진 점포에선 유리창 너머로 집기를 정리하는 점주들이 눈에 띄었다.

이 건물 2층에서 당구장을 운영하는 이모 사장은 “문은 열었지만 앞으로 살길이 막막하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지난달 가게를 인수하고 인테리어로 5000만원을 들였는데 (정부의 집합금지 명령 탓에) 손님을 거의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바로 옆 호프집은 개업하고 한 달도 채 안돼 부동산에 가게를 내놨다”며 “다음은 내 차례가 될 것 같다”며 고개를 숙였다.

정부는 전날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 수준을 2단계로 완화했다. 이번 조치로 헬스장, 당구장, 골프연습장 등이 다시 문을 열게 됐다. PC방은 고위험시설 가운데 유일하게 제한적인 영업이 허용됐다. 나머지 고위험시설은 오는 20일까지 집합금지 명령이 유지된다.

이날 거리에서 만난 소상공인들은 “거리두기 완화가 반갑지만은 않다”고 했다. 영업을 재개해도 경기가 회복될 가능성이 없다고 보고 있어서다.

이날 만난 부천 상동의 한 실내 골프연습장 사장은 “보름 만에 골프 기계를 켜니 기계 11대가 모두 고장 나 있는데 이런 건 누가 책임져야 하느냐”고 하소연했다.

강제휴업을 이어가게 된 노래방 업계는 절망감에 휩싸였다. 서울 구로동에서 노래방을 하는 김시동 사장은 “정부 지원금이 나오면 건물주의 명도소송을 막기 위해 밀린 월세를 갚는 데 다 써야 할 판”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노래연습장 점주는 “코인노래방은 최근에야 신용카드 단말기를 설치했는데 매출 실적을 증빙 못 해 재난지원금 대상에서조차 제외될 것 같아 걱정”이라고 했다.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완화 다음날인 14일 오전 경기 부천시 상동역사거리 인근 한 프라자상가 복도에 임시휴업안내 입간판이 서있다. 민경진 기자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완화 다음날인 14일 오전 경기 부천시 상동역사거리 인근 한 프라자상가 복도에 임시휴업안내 입간판이 서있다. 민경진 기자
영업 제한이 풀린 PC방에도 여전히 찬바람이 불고 있다. 주 고객층인 청소년들의 출입은 여전히 막혀 있기 때문이다. 서울 암사동에서 PC방을 운영하는 김모 사장은 이날도 가게 문을 열지 않았다. 이달 중 가게를 접기로 했기 때문이다. 그는 “한 달에 PC 리스 비용으로만 1200만원이 나가는데 감당할 엄두가 안 난다”고 했다. 그는 “지난 2월부터 가족들이 8시간, 16시간씩 3교대로 가게를 지켰는데 모든 노력이 물거품이 됐다”고 토로했다.

전통시장의 경우 방문자 수가 급감하면서 시장 내 먹자골목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음식점업의 경우 당일 소화가 안 된 식자재는 모두 버려야 하기 때문에 방문객이 적을 땐 차라리 문을 닫는 게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이다. 시장 내 문을 연 곳은 식자재 가게나 재고 관리가 가능한 도·소매업종뿐이다.

이번 추석 때 제사나 벌초를 하는 가정이 거의 사라지면서 전통시장 내 제수용품점도 대부분 휴업에 돌입했다. 한 전통시장 관계자는 “수도권은 유동인구가 많아 전통시장 방문객이 꾸준한 편”이라면서도 “대구·경북, 특히 구미 쪽은 전통시장 방문객이 거의 없다”고 전했다.

정부 2차 재난지원금 지원 소식이 나오지만 고사위기에 처한 음식점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근재 한국외식업중앙회 종로구지회장은 “‘추석 떡값’ 수준의 지원은 ‘땜질 처방’에 불과하다”며 “세제혜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종로구 내에서만 매월 50~70개 음식점이 폐업하고 있다”고 전했다. “폐업을 했다가 다시 신규 등록하는 절차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장사를 접어도 폐업신고를 안 하고 임시 휴업 상태를 유지하는 곳이 많다”는 설명이다. 실제 폐업 통계보다 장사를 접은 가게가 훨씬 많다는 지적이다.

민경진/안대규 기자 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