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경제·문화·행정 공동체 구성해야"…부·울·경 메가시티 로드맵 나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개 시·도 연구기관 중간보고
수소 공동사업 등 4대 목표 제시
수소 공동사업 등 4대 목표 제시
부산·울산·경남을 중심으로 한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작업이 본격화하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철도·도로 광역 인프라와 수소산업 등을 중심으로 경제 공동체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협업에 들어갔다.
부산연구원과 울산발전연구원, 경남연구원은 14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동남권 발전계획 수립 공동연구 1차 중간보고회’에서 동남권 메가시티 기본구상과 8개 실행계획 분야, 30개 사업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3개 시·도 연구기관은 이번 중간보고회에서 △철도와 도로 광역 인프라 구축 △수소 메가블록 사업 △2030 부산월드엑스포를 포함하는 문화공동체 기반 마련 △동남권 행정공동체 기반 정비 등 4대 과제 목표를 제시했다.
3개 시·도는 수도권 집중화로 지역 불균형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인구 800만 명의 동남권이 제2의 국가 성장축으로 성장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 지난해 3월 동남권상생발전협의회를 구성했다.
이와 관련, 부산상공회의소는 최근 수도권 집중문제를 해소하고 동남권의 경제도약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부·울·경 메가시티 추진전략’을 구축했다. 대형산업과 정보통신기술을 융복합한 산업구조 고도화, 공항·철도·항만이 연계된 물류 허브 경쟁력 강화, 수소에너지를 활용한 수소경제권 구축, 광역권 연구개발시설 공동 활용을 중점 추진과제로 제시했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이번 작업은 한국판 뉴딜에 대응한 동남권 메가시티만의 사업들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라며 “동남권 발전계획 수립 공동연구가 강력한 실천력을 바탕으로 지역경제를 회복시키고, 동남권이 국가 균형발전의 핵으로 성장할 수 있는 해답이 되도록 실천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특히 문화 관광 분야에서는 ‘2030 부산월드엑스포’와 관련한 동남권 공동 대응 방안을 포함해 문화 공동체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동남권 문화관광벨트, 낙동강 생태인문 관광벨트를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 대상이다. 그 밖에 동남권 재난관리본부를 설립해 재난 안전에 공동 대처하는 한편 동남권 오픈 평생교육 혁신플랫폼 구축도 핵심사업에 들어갔다.
김석진 울산시 행정부시장은 “중간보고서에서 제시된 사업들이 각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사업과의 연계성이 중요하다”며 “정부의 한국판 뉴딜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사업 발굴에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하병필 경상남도 행정부지사는 “동남권 발전계획은 국가균형발전과 지역상생을 위한 동남권 메가시티의 로드맵이 될 수 있는 만큼 더욱 면밀히 연구해야 한다”며 “동남권은 하나라는 전제하에 공통의 목표를 향해 함께 나아갈 수 있는 디딤돌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부산연구원과 울산발전연구원, 경남연구원 등 3개 시·도 연구기관은 내년 3월 동남권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최종 연구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부산=김태현/울산=하인식/창원=김해연 기자 hyun@hankyung.com
부산연구원과 울산발전연구원, 경남연구원은 14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동남권 발전계획 수립 공동연구 1차 중간보고회’에서 동남권 메가시티 기본구상과 8개 실행계획 분야, 30개 사업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3개 시·도 연구기관은 이번 중간보고회에서 △철도와 도로 광역 인프라 구축 △수소 메가블록 사업 △2030 부산월드엑스포를 포함하는 문화공동체 기반 마련 △동남권 행정공동체 기반 정비 등 4대 과제 목표를 제시했다.
3개 시·도는 수도권 집중화로 지역 불균형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인구 800만 명의 동남권이 제2의 국가 성장축으로 성장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 지난해 3월 동남권상생발전협의회를 구성했다.
이와 관련, 부산상공회의소는 최근 수도권 집중문제를 해소하고 동남권의 경제도약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부·울·경 메가시티 추진전략’을 구축했다. 대형산업과 정보통신기술을 융복합한 산업구조 고도화, 공항·철도·항만이 연계된 물류 허브 경쟁력 강화, 수소에너지를 활용한 수소경제권 구축, 광역권 연구개발시설 공동 활용을 중점 추진과제로 제시했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이번 작업은 한국판 뉴딜에 대응한 동남권 메가시티만의 사업들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라며 “동남권 발전계획 수립 공동연구가 강력한 실천력을 바탕으로 지역경제를 회복시키고, 동남권이 국가 균형발전의 핵으로 성장할 수 있는 해답이 되도록 실천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특히 문화 관광 분야에서는 ‘2030 부산월드엑스포’와 관련한 동남권 공동 대응 방안을 포함해 문화 공동체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동남권 문화관광벨트, 낙동강 생태인문 관광벨트를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 대상이다. 그 밖에 동남권 재난관리본부를 설립해 재난 안전에 공동 대처하는 한편 동남권 오픈 평생교육 혁신플랫폼 구축도 핵심사업에 들어갔다.
김석진 울산시 행정부시장은 “중간보고서에서 제시된 사업들이 각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사업과의 연계성이 중요하다”며 “정부의 한국판 뉴딜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사업 발굴에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하병필 경상남도 행정부지사는 “동남권 발전계획은 국가균형발전과 지역상생을 위한 동남권 메가시티의 로드맵이 될 수 있는 만큼 더욱 면밀히 연구해야 한다”며 “동남권은 하나라는 전제하에 공통의 목표를 향해 함께 나아갈 수 있는 디딤돌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부산연구원과 울산발전연구원, 경남연구원 등 3개 시·도 연구기관은 내년 3월 동남권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최종 연구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부산=김태현/울산=하인식/창원=김해연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