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9대 일본 총리 스가 요시히데 총리 내각(사진)은 장기집권 이후 들어선 내각이 대부분 단명으로 끝난 자민당의 징크스를 깰 수 있을까.
16일 산케이신문은 자민당 정치사에 장기 집권한 총리의 뒤를 이은 총리들은 모두 1~2년 만에 권좌에서 물러난 징크스가 있다고 보도했다. 역대 세번째로 장기집권 한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 내각(2001년 4월26일~2006년 9월26일) 이후 들어선 아베 신조(1차 집권), 후쿠다 야스오 , 아소 다로 내각은 모두 1년만에 붕괴됐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 이어 두번째 장수 총리인 사토 에이사쿠 내각(1964년11월9일~1972년 7월7일) 이후에는 다나카 가쿠에이 정권(집권기간 2년5개월) 등 5명의 총리가 차례로 등판했지만 집권기간은 2년 남짓에 그쳤다.
역대 4번째 장수 총리인 나카소네 야스히로 정권(1982년 11월27일~1987년 11월6일)의 뒤를 이어서는 4명의 총리가 등판했다. 이 가운데 우노 소스케 내각은 참의원 선거에서 대패하면서 2개월 만에 무너졌다. 사토, 나카소네, 고이즈미 총리의 후임 총리는 모두 12명. 이들의 평균 재임기간은 1년7개월에 불과하다.
장기집권 이후 내각의 교체가 유독 잦았던 건 차기 총재 후보가 난립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총리 1명이 오랜 기간 집권하는 사이 차기를 노리는 유력 후보가 늘어나고 이 중 한 명이 권력투쟁에서 승리해 가까스로 정권을 잡더라도 곧 경쟁자에 의해 끌어내려진다는 설명이다.
산케이신문은 자민당 정치사에 장기 집권한 총리의 뒤를 이은 총리들은 모두 1~2년 만에 권좌에서 물러난 징크스가 있다고 16일 보도했다. 사토, 나카소네, 고이즈미 등 장수 총리의 후임 총리 12명의 평균 재임기간은 1년7개월에 불과하다.
스가 총리는 일본 역대 최장수 총리인 아베 내각(2012년12월26일~2020년9월16일)의 뒤를 잇는다. 그의 임기는 내년 9월말까지로 1년 남짓이다. 그 사이 중의원 해산 및 총선거에서 승리해 새 기반을 닦지 않으면 자민당 징크스의 희생자가 될 수도 있다. 지난 14일 자민당 총재선거에서 2위를 차지한 기시다 후미오 전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은 벌써부터 내년 9월 총재선거에 재도전하겠다는 의향을 밝혔다.
다만 스가 총리가 워낙 압도적인 표차로 승리했기 때문에 지지기반을 무시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있다. 자민당 내부에서는 아베 총리가 재임기간 중 후계자를 육성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데 후계자가 없다는 점 또한 스가 총리 외 대안이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고 이 신문은 해석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7일 민영기업심포지엄(좌담회)에 참석했다.시 주석은 민영기업 대표들의 발언을 들은 뒤 중요한 연설을 했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전해지지 않았다.지금까지 시 주석은 반도체 자립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경제 발전 촉진 등을 강조해왔다. 시 주석은 최근 미국과 무역 긴장 고조와 중국 경기 침체 장기화로 힘들어 할 기업인들을 독려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CCTV가 공개한 영상을 보면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알리바바의 창업자인 마윈과 중국 스마트폰 1위 업체이자 전기차로도 진출한 레이쥔 샤오미 회장,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로 급부상한 왕싱싱 유니트리 회장 등이 보인다. 이어 런정페이 화웨이 창업자와 세계 1위 전기차 기업의 왕촨푸 BYD 회장, 세계 최대 배터리기업 쩡위친 CATL 회장, 렁유빈 중국전국공산업연합회 부회장 등의 모습도 보인다.김영석 한경디지털랩 PD youngstone@hankyung.com
미국프로골프(PGA)투어 시그니처 대회인 제네시스 인비테이셔널(총상금 2000만달러) 최종라운드가 열린 17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토리파인스GC 남코스(파72). 이 대회의 호스트인 '골프황제' 타이거 우즈(50·미국)가 한 여성과 환하게 웃으며 경기장을 누비는 모습이 목격됐다. 바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손녀인 카이 트럼프였다. 이들은 시종 밝은 표정으로 대화를 나누며 대회장 곳곳을 누볐다.제네시스인비테이셔널이 트럼프 대통령 측과 미국 골프계 핵심인사들의 만남의 장이 됐다. 트럼프 2기의 실세로 꼽히는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그의 딸 카이가 거의 매일 현장을 찾은 가운데 PGA투어를 대표하는 간판 스타들이 지근에서 수행했다. LIV골프와의 합병 등 굵직한 과제 해결을 위해 정부의 지원이 간절한 PGA가 제네시스 인비테이셔널을 무대로 활용한 셈이다. 제네시스 인비테이셔널은 PGA투어에서 최고의 권위를 갖는 8개의 시그니처 대회 중 하나다. '황제' 우즈가 호스트를 맡고 있으며 세계랭킹 1위 스코티 셰플러(30·미국)를 비롯해 3위 로리 매킬로이(36.북아일랜드) 등 정상급 선수 72명이 출전했다. 새 행정부의 실세들과 자연스러운 교류를 만들어내기에 더없이 좋은 조건의 무대인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손녀 카이는 플로리다의 한 고등학교에서 골프선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 사실을 매우 자랑스럽게 여긴다고 한다. PGA측은 카이를 극진하게 대우했다. 프로암에서는 매킬로이가 같은 조에서 라운드했고, 최종라운드에는 '황제' 우즈가 직접 수행했다. PGA투어는 2년전 사우디아라비아 자본으로 운영되는 LIV
미국발 관세 전쟁을 잘 활용하면 한국 주력 사업에 기회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다른 나라에 비해 '불공정 무역행위' 수준이 낮아 비교적 낮은 상호관세율이 예상된다는 점에서다. 산업연구원은 17일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의 주요 내용과 우리의 대응 방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서명한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의 세부 내용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담겼다. 연구원은 "멕시코와 캐나다 대상 25% 관세(유예), 대중국 전(全) 상품 대상 10% 추가 관세,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등은 예고편"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주요 부처에 4월 1일까지 미국의 만성적 상품무역수지 적자를 축소시킬 방안과 제조산업 기반을 확충하고, 경제안보를 보장할 전략을 보고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이준 산업연구원 경영부원장은 이를 두고 "미국이 건국 당시 영국의 플랜테이션화(化)를 관세로 막아낸 것처럼 중국 부상을 계기로 21세기 산업정책을 부활시킨 것"이라고 평가했다.관건은 상하원 다수 의석을 쥔 미국 공화당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교역법(Reciprocal Trade Act)'을 통과시킬지 여부라는 분석이다. 지금처럼 무역확장법,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 등 사문화된 법을 꺼내들지 않아도 트럼프가 단독으로 관세 인상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대(對) 중국 항구적정상무역관계(PNTR), 즉 최혜국 대우(MFN) 철폐 입법 여부도 주목되는 내용이다. 김상훈 선임연구위원은 "본래 2001년 미·중관계법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