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경남, 기업 투자유치 '선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구, 8월까지 작년 17% 수준
기업들 투자 포기 속출한 탓
부산·울산도 사정은 마찬가지
기업들 투자 포기 속출한 탓
부산·울산도 사정은 마찬가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대구와 부산 등 광역시권 투자유치가 크게 위축되고 있다. 특히 대구시는 서대구역세권 개발,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이전부지 개발 등 투자유치와 연계한 대형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지만 투자유치 역량이 갈수록 약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대구시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현재 투자유치 실적은 5개사 661억원에 그쳤다. 지난해 3849억원(10건)의 17% 수준이다.
대구에 사상 처음으로 지정된 국가산업단지(1단계)에선 투자를 약속한 기업이 착공을 미루거나 투자를 포기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2016년 말 국가산단 준공 이후 시와 양해각서(MOU)를 맺은 기업 199개 가운데 9월 현재 정상적으로 투자를 진행한 곳은 148개(74%)에 그쳤다. 착공조차 못한 기업이 31개, 투자를 포기한 기업도 20개에 달한다. 시는 투자를 포기한 20개 업체 중 9곳은 대체 기업을 확보했으나 11곳은 주인을 찾지 못했다. 시 관계자는 “주 52시간제 도입 등 경제환경이 악화한 데다 대구에 2, 3월 코로나19가 집단 발병하면서 투자환경이 급격히 나빠진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산시의 투자유치 실적도 8월 말까지 1815억원(10건)으로 지난해 4803억원(23건)의 38% 수준에 머물고 있다. 울산시는 더 부진하다. 8월 말까지 투자유치 실적은 6129억원(10건)으로 지난해의 29% 수준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투자 재검토에 들어간 기업이 많아 올해는 지난해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경상북도와 경상남도는 상대적으로 투자유치가 활발한 편이다. 경상북도의 투자유치 실적(23개 시·군 자체 유치 제외)은 8월 말 현재 2조2377억원(22건)으로 지난해 3조6545억원(19건)의 61%에 달했다. 경상북도는 민선 7기가 시작된 2018년 9월 전직 국책·시중은행장과 부행장, 산업부 차관, 대기업 임원 출신 등 전문가 17명으로 투자유치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투자유치는 정보에서 시작된다’는 판단에 따라 금융권과 대기업의 설비 증설 및 추가 투자계획 정보를 입수해 투자유치에 적극 활용한 덕분이다. 경상남도도 올 상반기 투자유치액(시·군 포함)이 1조7211억원(35건)으로 지난해 3조3387억원(85건)의 51%를 기록했다.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경북의 한 투자전문가는 “코로나19로 해외 투자유치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이런 때도 잘되는 기업은 있게 마련”이라며 “투자유치 부진을 코로나 탓으로 돌리기보다 유치 역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부산=김태현/울산=하인식/창원=김해연/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16일 대구시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현재 투자유치 실적은 5개사 661억원에 그쳤다. 지난해 3849억원(10건)의 17% 수준이다.
대구에 사상 처음으로 지정된 국가산업단지(1단계)에선 투자를 약속한 기업이 착공을 미루거나 투자를 포기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2016년 말 국가산단 준공 이후 시와 양해각서(MOU)를 맺은 기업 199개 가운데 9월 현재 정상적으로 투자를 진행한 곳은 148개(74%)에 그쳤다. 착공조차 못한 기업이 31개, 투자를 포기한 기업도 20개에 달한다. 시는 투자를 포기한 20개 업체 중 9곳은 대체 기업을 확보했으나 11곳은 주인을 찾지 못했다. 시 관계자는 “주 52시간제 도입 등 경제환경이 악화한 데다 대구에 2, 3월 코로나19가 집단 발병하면서 투자환경이 급격히 나빠진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산시의 투자유치 실적도 8월 말까지 1815억원(10건)으로 지난해 4803억원(23건)의 38% 수준에 머물고 있다. 울산시는 더 부진하다. 8월 말까지 투자유치 실적은 6129억원(10건)으로 지난해의 29% 수준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투자 재검토에 들어간 기업이 많아 올해는 지난해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경상북도와 경상남도는 상대적으로 투자유치가 활발한 편이다. 경상북도의 투자유치 실적(23개 시·군 자체 유치 제외)은 8월 말 현재 2조2377억원(22건)으로 지난해 3조6545억원(19건)의 61%에 달했다. 경상북도는 민선 7기가 시작된 2018년 9월 전직 국책·시중은행장과 부행장, 산업부 차관, 대기업 임원 출신 등 전문가 17명으로 투자유치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투자유치는 정보에서 시작된다’는 판단에 따라 금융권과 대기업의 설비 증설 및 추가 투자계획 정보를 입수해 투자유치에 적극 활용한 덕분이다. 경상남도도 올 상반기 투자유치액(시·군 포함)이 1조7211억원(35건)으로 지난해 3조3387억원(85건)의 51%를 기록했다.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경북의 한 투자전문가는 “코로나19로 해외 투자유치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이런 때도 잘되는 기업은 있게 마련”이라며 “투자유치 부진을 코로나 탓으로 돌리기보다 유치 역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부산=김태현/울산=하인식/창원=김해연/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