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9 군사합의' 2년…연락사무소 잔해만 남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北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 폐기
이산가족 상봉 등 안 지켜져
정부는 눈치보며 저자세로 일관
이산가족 상봉 등 안 지켜져
정부는 눈치보며 저자세로 일관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을 약속한 ‘9·19 평양 공동선언’이 나온 지 19일로 2년이 되지만 교착 상태에 빠진 남북한 관계는 이렇다 할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 미·북 간 비핵화 대화가 막힌 데다 북한의 각종 무력시위가 이어지면서 남북 분위기가 9·19 선언 이전으로 후퇴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문재인 정부는 △북한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 폐기 △지상·해상·공중 적대행위 중단 △비무장지대(DMZ) 내 감시초소(GP) 철수 △이산가족 상봉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답방 등을 약속한 9·19 선언 및 군사 합의를 최대 업적 중 하나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지난 2년간 이 중 정상적으로 이행된 것은 사실상 GP 철수뿐이다. 나머지 합의 사항은 북한의 무반응으로 변변한 협의조차 못해 사문화됐다는 평가다. 북한은 작년 12월 동창리에서 두 차례나 “핵 억제력 강화를 위한 중대한 시험을 벌였다”고 밝혔다. 김정은은 9·19 합의 당시 “조선반도(한반도)를 핵 위협 없는 평화의 땅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했지만, 지난 7월 평양에서 열린 전국노병대회에서 ‘핵보유국’을 재선언했다.
북한이 6월 개성 남북 공동 연락사무소를 무단 폭파하면서 남북 관계가 막다른 골목에 다다랐다는 진단도 나온다. 연락사무소가 파괴된 뒤 남북 간에는 최소한의 소통 채널마저 사라졌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북한의 심기를 자극하지 않기 위해 저자세로 일관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7월 취임한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16일 “북한도 나름대로 남북 합의를 준수하려는 의지가 있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11월 열리는 미국 대선이 남북 관계와 미·북 대화 향배를 가를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헌형/임락근 기자 hhh@hankyung.com
문재인 정부는 △북한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 폐기 △지상·해상·공중 적대행위 중단 △비무장지대(DMZ) 내 감시초소(GP) 철수 △이산가족 상봉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답방 등을 약속한 9·19 선언 및 군사 합의를 최대 업적 중 하나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지난 2년간 이 중 정상적으로 이행된 것은 사실상 GP 철수뿐이다. 나머지 합의 사항은 북한의 무반응으로 변변한 협의조차 못해 사문화됐다는 평가다. 북한은 작년 12월 동창리에서 두 차례나 “핵 억제력 강화를 위한 중대한 시험을 벌였다”고 밝혔다. 김정은은 9·19 합의 당시 “조선반도(한반도)를 핵 위협 없는 평화의 땅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했지만, 지난 7월 평양에서 열린 전국노병대회에서 ‘핵보유국’을 재선언했다.
북한이 6월 개성 남북 공동 연락사무소를 무단 폭파하면서 남북 관계가 막다른 골목에 다다랐다는 진단도 나온다. 연락사무소가 파괴된 뒤 남북 간에는 최소한의 소통 채널마저 사라졌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북한의 심기를 자극하지 않기 위해 저자세로 일관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7월 취임한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16일 “북한도 나름대로 남북 합의를 준수하려는 의지가 있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11월 열리는 미국 대선이 남북 관계와 미·북 대화 향배를 가를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헌형/임락근 기자 hh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