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부대 등 야전군서 잔뼈 굵은 남영신 총장, 육군 변화 이끌지 주목
서욱 국방장관과 임관 기수 동기…"역량과 전문성 우선 고려"
육사출신 50년 참모총장 독식 관행 깨져…군내 출신의 벽 허물어
정부가 21일 학군(ROTC) 출신 남영신(58·학군23기) 지상작전사령관을 신임 육군참모총장으로 내정한 것은 육군사관학교 출신이 50년 넘게 총장직을 독식해온 관행을 깼다는 데 의미가 있다.

아울러 육사-비육사 출신으로 나뉘어 보이지 않는 칸막이가 쳐졌던 '군내 유리벽'을 허물어뜨린 인사라는 평가도 나온다.

남 내정자는 1948년 육군 창설 이후 72년 만의 최초 학군 출신 총장, 1969년 첫 육사 출신 총장 이후 51년 만에 나온 비육사 출신 총장으로 각각 기록된다.

육군총장은 제1대부터 제18대까지 군사영어학교 또는 일본군 장교 출신자들이 맡았다.

육사 출신 임명은 제19대 때부터였다.

육사 1기 출신인 서종철 대장이 첫 육사 출신 총장이 됐다.

이후 제48대 서욱 전 총장까지 내리 육사 출신이 독식해 왔다.

군 안팎에선 이미 남 내정자가 문재인 정부에서 비육사 출신 첫 육군총장으로 발탁돼 서욱 국방부 장관과 함께 국방개혁을 이끌어나갈 것으로 예측해왔다.

기무사 해편(解編·해체 후 새로 편제)과 안보지원사 창설 과정에서 큰 잡음 없이 매끄럽게 일 처리를 해왔던 그의 업무 스타일 등이 이런 관측의 배경이 됐다.

그는 국군기무사령부의 마지막 수장을 맡아 기무사 조직 해편작업을 진두지휘한 후 새로 창설한 군사안보지원사령부 초대 사령관을 맡았다.

이를 계기로 특전사에서 잔뼈가 굵은 그는 뒤늦게 추진력과 개혁적 마인드 등 업무 능력을 인정받았다.

이번 남 내정자의 발탁은 그간 현 정부에서 단행된 파격적 군 수뇌 인사의 연장선이란 평가가 나온다.

송영무 전 해군총장에 이어 정경두 전 공군총장이 국방부 장관으로 발탁됐다.

비육사 출신이 연거푸 국방부 수장을 맡다가 이번에야 육사 41기 출신인 서욱 장관으로 바뀌었다.

사실 지난달 말 합참의장에 원인철 공군총장을 발탁한 것도 예상하지 못한 인사였다.

공사 32기인 원 후보자의 경우 육사 41기인 서 장관보다 한 기수 선배였기 때문이다.

앞서 특전사령관이었던 남 내정자를 기무사령관으로 임명한 것도 '깜짝 발탁' 사례로 꼽혔다.

충남 계룡대의 육군본부 등은 남 내정자의 발탁 소식에 예상했던 인사라면서도 술렁거리는 분위기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세기 넘게 고착돼온 '육사 출신 중시 문화 및 인사 시스템'이 완전히 바뀔지에 촉각을 세우는 분위기라고 군의 한 관계자는 전했다.

현재 육군 진급 인사 시스템은 육사와 비육사 출신 '공석'을 사전에 몇석으로 정해놓고 진행한다.

육사 출신 공석이 몇 석이냐에 따라 비육사 출신 공석이 정해지는 경우가 다반사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야전군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해 국방정책에 적극 반영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남 내정자는 공수부대, 제2작전사령부, 3사단 등 주로 야전에서 근무했다.

국방부와 합참 근무 경력은 없다.

군의 한 관계자는 "역대 육군총장들은 '미래 육군', '미래전' 등에 대비하는 쪽에 업무 방점을 뒀다"면서 "남 내정자는 주로 야전에 근무했기 때문에 야전군의 실상을 누구보다 잘 알고, 야전부대의 개선해야 할 사항 등을 꿰뚫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야전군의 예산 확충이나 제도 개혁 등은 당면한 과제"라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방개혁이나 그간 군 수뇌부가 계획한 싸우는 방법 등이 야전군의 시각과 동떨어지는 부분도 분명히 있다"고 주장했다.

남 내정자와 서 장관은 임관 기수로 동기다.

과거에도 이병태 국방장관과 김동진 육군총장이 동기인 적이 있다.

이에 국방부는 "주요 국방정책을 보다 체계적이고 내실 있게 추진할 수 있는 역량과 전문성을 우선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