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온 테슬라 배터리데이, 시나리오별 국내 관련주 영향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 시간으로 오는 23일 오전 5시 30분.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여는 행사인 '배터리데이'가 전 세계에 생중계된다. 배터리데이 발표 내용이 명확히 알려지지 않은 가운데 국내 2차전지 관련주들은 배터리데이가 다가올수록 요동치고 있다. 한국의 신성장동력으로 떠오른 배터리 산업의 향방이 이날 행사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증권업계에서는 배터리데이에 대한 막연한 우려로 최근 2차전지 관련주가 부진했던 만큼 행사 자체가 불확실성 해소로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테슬라는 오는 22일(현지시간) 주주총회를 개최한 직후 엘런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나서 자사의 배터리 전략을 발표한다. 전기차 회사가 배터리 관련 전략을 발표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배터리데이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안갯속이다. 배터리 업계의 오랜 고민거리인 전기차 업체의 배터리 내재화는 이미 테슬라측이 수차례 밝혔던 장기 프로젝트다. 하지만 내재화 시기나 구체적 방식은 알려지지 않았다. 배터리데이에서 내재화에 대한 계획이나 CEO의 의지를 엿볼 수 있을 전망이다. 다만 배터리 내재화는 막대한 투자와 기술이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이루기엔 어렵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세계 1위 배터리 업체인 중국 CATL과의 전략적 제휴 강화 발표는 이미 몇차례 발표를 통해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이날 테슬라가 배터리 관련 신소재나 신기술을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
가장 가능성이 큰 시나리오는 공정 혁신을 통한 원가 절감 발표다. 주요 배터리 업체들의 배터리 원가는 1킬로와트(KW)당 최소 120달러로 알려졌다. 이를 100달러 미만으로 떨어뜨리면 각국의 보조금 없이 내연기관과 가격경쟁을 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원가 절감을 하려면 공정을 개선해 배터리 원가를 낮추거나 소재를 적용해 에너지 밀도를 높여야 한다. 테슬라가 추진중인 방식은 전자다.
최근 테슬라가 특허를 출원한 탭리스 기술과 맥스웰 테크놀로지 건식 전극 공정도 모두 배터리 공정을 개선하는 내용이다. 이재일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배터리 생산 공정을 혁신해 원가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계획을 발표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테슬라가 공정 혁신 발표를 하더라도 국내 관련주 전반에 큰 악재는 아니라는 진단도 나온다. 국내 2차전지 밸류체인의 최대 강점은 소재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이 포진해있다는 점기 때문이다. 배터리의 4대 핵심소재는 양극재·음극재·전해액·분리막이다.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나 안정성을 확보하려면 각 소재별로 최적의 조합이 필요하다.
천보는 전해액 첨가제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업체다. 전해액 첨가제는 2차전지 수명과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 전기에너지를 저장·방출하는 양극재는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소재다. 전기차용 고용량 배터리에는 니켈 함량을 높인 하이니켈계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이 사용된다. 니켈 함량을 높이면서 안정성을 유지하는 게 핵심 기술인데 국내에서는 에코프로비엠 등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에코프로비엠과 천보는 3분기 들어 각각 28.04%, 111.39% 오르며 2차전지주 가운데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국내 다른 2차전지 소재주나 2차전지 장비주들도 글로벌 배터리 수요 증가세를 고려했을 때 단기적으로 실적이 악화될 가능성은 미미하다는 게 증권업계의 관측이다. 정 연구원은 "테슬라가 공정 혁신을 통해 원가를 절감하더라도 공정만으로 한계가 있을 뿐더러 국내 업체들은 소재 혁신을 통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원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배터리데이 시나리오는
LG화학은 21일 5.86% 떨어진 62만7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17일 배터리 부문을 물적분할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주가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배터리데이를 앞두고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면서 주가 조정폭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이날 삼성SDI도 1.55% 떨어졌다.테슬라는 오는 22일(현지시간) 주주총회를 개최한 직후 엘런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나서 자사의 배터리 전략을 발표한다. 전기차 회사가 배터리 관련 전략을 발표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배터리데이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안갯속이다. 배터리 업계의 오랜 고민거리인 전기차 업체의 배터리 내재화는 이미 테슬라측이 수차례 밝혔던 장기 프로젝트다. 하지만 내재화 시기나 구체적 방식은 알려지지 않았다. 배터리데이에서 내재화에 대한 계획이나 CEO의 의지를 엿볼 수 있을 전망이다. 다만 배터리 내재화는 막대한 투자와 기술이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이루기엔 어렵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세계 1위 배터리 업체인 중국 CATL과의 전략적 제휴 강화 발표는 이미 몇차례 발표를 통해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이날 테슬라가 배터리 관련 신소재나 신기술을 발표할 가능성도 있다.
가장 가능성이 큰 시나리오는 공정 혁신을 통한 원가 절감 발표다. 주요 배터리 업체들의 배터리 원가는 1킬로와트(KW)당 최소 120달러로 알려졌다. 이를 100달러 미만으로 떨어뜨리면 각국의 보조금 없이 내연기관과 가격경쟁을 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원가 절감을 하려면 공정을 개선해 배터리 원가를 낮추거나 소재를 적용해 에너지 밀도를 높여야 한다. 테슬라가 추진중인 방식은 전자다.
최근 테슬라가 특허를 출원한 탭리스 기술과 맥스웰 테크놀로지 건식 전극 공정도 모두 배터리 공정을 개선하는 내용이다. 이재일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배터리 생산 공정을 혁신해 원가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계획을 발표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국내 2차전지株 영향은
시장의 관심은 배터리데이 이후 2차전지 관련주의 방향성이다. 배터리데이 발표 자체가 불확실성 해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배터리데이가 불확실성으로 작용하면서 배터리 관련주가 최근 조정을 받았다"며 "배터리데이 이후에는 중·장기적으로 상승세에 접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테슬라가 공정 혁신 발표를 하더라도 국내 관련주 전반에 큰 악재는 아니라는 진단도 나온다. 국내 2차전지 밸류체인의 최대 강점은 소재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이 포진해있다는 점기 때문이다. 배터리의 4대 핵심소재는 양극재·음극재·전해액·분리막이다.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나 안정성을 확보하려면 각 소재별로 최적의 조합이 필요하다.
천보는 전해액 첨가제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업체다. 전해액 첨가제는 2차전지 수명과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 전기에너지를 저장·방출하는 양극재는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소재다. 전기차용 고용량 배터리에는 니켈 함량을 높인 하이니켈계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이 사용된다. 니켈 함량을 높이면서 안정성을 유지하는 게 핵심 기술인데 국내에서는 에코프로비엠 등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에코프로비엠과 천보는 3분기 들어 각각 28.04%, 111.39% 오르며 2차전지주 가운데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국내 다른 2차전지 소재주나 2차전지 장비주들도 글로벌 배터리 수요 증가세를 고려했을 때 단기적으로 실적이 악화될 가능성은 미미하다는 게 증권업계의 관측이다. 정 연구원은 "테슬라가 공정 혁신을 통해 원가를 절감하더라도 공정만으로 한계가 있을 뿐더러 국내 업체들은 소재 혁신을 통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원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