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새벽에 '꽝' 하며 빛났던 별똥별 정체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3일 새벽 1~2시 사이 일부 지역에서 목격된 '유성(별똥별)'은 지구에 위협적으로 작용하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천문연구원은 "23일 오전 1시 39분께 경기도 및 충청 지역 일대에서 평범한 유성보다 밝은 유성(화구)이 목격됐다"며 "흔히 관측되는 형태와 밝기의 화구이며, 지구 위협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23일 발표했다.
천문연에 따르면 이번 유성은 대기권에 진입한 후 낙하하는 동안 두 차례 폭발했다. '쾅'하는 굉음이 들리며 주변이 섬광처럼 환해졌다는 목격담이 전해진 것은 이 때문이다. 유성은 대전 기준 고도 약 30도로 북쪽에서 남쪽을 가로지르며 낙하했다. 유성의 크기 및 폭발 에너지는 관측되지 않았다.
유성은 혜성과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티끌, 또는 태양계를 떠돌던 먼지 등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기 안으로 들어오면서 대기와 마찰로 불타는 현상을 말한다. 불탈 때 실제로 빛을 내는 부분은 유성이 아니다. 유성 주위를 둘러싼 대기 속 원자와 분자가 이온화됐다 재결합될 때, 또는 들뜸 상태에서 가라앉음 상태가 될 때 빛이 나오게 된다. 이 빛은 원자나 분자의 종류에 따라 특유의 파장을 갖는다. 유성이 여러가지 빛을 내는 것은 이 때문이다.
천문연 관계자는 "하루에도 지구 근처에 떨어지는 유성 가운데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수없이 많다"며 "유성이 빛을 발하는 시간은 수십분의 1초~수 초 사이"라고 설명했다.
유성 가운데 평범한 유성보다 훨씬 밝은 유성을 '화구'라고 한다. 동양에선 '천구성', 서양에선 '파이어볼'로 불렸다. 국제천문연맹의 정의에 따르면 화구는 지상에서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행성보다 밝은 유성(금성의 겉보기 등급보다 밝은 유성)을 말한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한국천문연구원은 "23일 오전 1시 39분께 경기도 및 충청 지역 일대에서 평범한 유성보다 밝은 유성(화구)이 목격됐다"며 "흔히 관측되는 형태와 밝기의 화구이며, 지구 위협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23일 발표했다.
천문연에 따르면 이번 유성은 대기권에 진입한 후 낙하하는 동안 두 차례 폭발했다. '쾅'하는 굉음이 들리며 주변이 섬광처럼 환해졌다는 목격담이 전해진 것은 이 때문이다. 유성은 대전 기준 고도 약 30도로 북쪽에서 남쪽을 가로지르며 낙하했다. 유성의 크기 및 폭발 에너지는 관측되지 않았다.
유성은 혜성과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티끌, 또는 태양계를 떠돌던 먼지 등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기 안으로 들어오면서 대기와 마찰로 불타는 현상을 말한다. 불탈 때 실제로 빛을 내는 부분은 유성이 아니다. 유성 주위를 둘러싼 대기 속 원자와 분자가 이온화됐다 재결합될 때, 또는 들뜸 상태에서 가라앉음 상태가 될 때 빛이 나오게 된다. 이 빛은 원자나 분자의 종류에 따라 특유의 파장을 갖는다. 유성이 여러가지 빛을 내는 것은 이 때문이다.
천문연 관계자는 "하루에도 지구 근처에 떨어지는 유성 가운데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수없이 많다"며 "유성이 빛을 발하는 시간은 수십분의 1초~수 초 사이"라고 설명했다.
유성 가운데 평범한 유성보다 훨씬 밝은 유성을 '화구'라고 한다. 동양에선 '천구성', 서양에선 '파이어볼'로 불렸다. 국제천문연맹의 정의에 따르면 화구는 지상에서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행성보다 밝은 유성(금성의 겉보기 등급보다 밝은 유성)을 말한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