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조절장애 환자 매년 증가, 올해는 코로나19로 더 많을 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진료인원 2015년 대비 31%↑…올해 상반기는 작년 한해의 62%
최근 수년간 분노조절장애로 치료를 받는 사람이 매년 늘어, 지난해 환자 수는 2015년보다 3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실에 제출한 '분노조절장애 진료실 인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분노조절장애로 치료를 받은 사람은 2천249명으로 2015년 1천721명 대비 30.7% 증가했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분노조절장애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꾸준히 늘었다.
2015년에는 1천721명이었지만 2016년에는 1천995명으로 2천명에 육박했고 2017년에는 2천161명으로 2천명을 넘었다.
이후 2018년에는 2천242명, 2019년 2천249명으로 각각 조사됐다.
2015∼2019년 분노조절장애 환자를 연령별로 보면 매년 20대의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환자의 수는 2015년 542명이었으나 2016년 701명, 2017년 777명, 2018년 767명, 2019년 829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증가율로 보면 60대가 9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0대 환자는 2015년 53명에서 2019년 101명으로 늘었다.
2019년 기준 분노조절장애 환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인구 밀집 지역인 경기도(550명)였다.
그러나 인구 10만명당으로 계산하면 울산시가 10만명당 7.32명으로 가장 많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하는 올해는 6월까지 분노조절장애 환자가 지난해의 61.7%인 1천389명으로 집계되면서 지난해보다 더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최혜영 의원은 이에 대해 "올해는 코로나19 장기전에 따른 분노와 스트레스 증가로 '코로나 블루(우울)'에 이어 '코로나 레드(분노)'가 번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간헐적 폭발성 장애'로도 불리는 분노조절장애는 예민한 성격을 넘어 정신건강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전문적 치료가 필요하다"면서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분노조절장애를 겪는 국민을 위한 정신건강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는 등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4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실에 제출한 '분노조절장애 진료실 인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분노조절장애로 치료를 받은 사람은 2천249명으로 2015년 1천721명 대비 30.7% 증가했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분노조절장애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꾸준히 늘었다.
2015년에는 1천721명이었지만 2016년에는 1천995명으로 2천명에 육박했고 2017년에는 2천161명으로 2천명을 넘었다.
이후 2018년에는 2천242명, 2019년 2천249명으로 각각 조사됐다.
2015∼2019년 분노조절장애 환자를 연령별로 보면 매년 20대의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환자의 수는 2015년 542명이었으나 2016년 701명, 2017년 777명, 2018년 767명, 2019년 829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증가율로 보면 60대가 9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0대 환자는 2015년 53명에서 2019년 101명으로 늘었다.
2019년 기준 분노조절장애 환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인구 밀집 지역인 경기도(550명)였다.
그러나 인구 10만명당으로 계산하면 울산시가 10만명당 7.32명으로 가장 많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하는 올해는 6월까지 분노조절장애 환자가 지난해의 61.7%인 1천389명으로 집계되면서 지난해보다 더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최혜영 의원은 이에 대해 "올해는 코로나19 장기전에 따른 분노와 스트레스 증가로 '코로나 블루(우울)'에 이어 '코로나 레드(분노)'가 번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간헐적 폭발성 장애'로도 불리는 분노조절장애는 예민한 성격을 넘어 정신건강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전문적 치료가 필요하다"면서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분노조절장애를 겪는 국민을 위한 정신건강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는 등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